생명과학 ① 6-11. 자극과 반응 - 말초 신경계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신경계 B
② 말초 신경계
중추 신경계와 온몸의 조직이나 기관을 연결하는 신경으로, 기능에 따라 체성 신경계와 자율 신경계로 구분한다.
ⓐ 체성 신경계
체성 신경계는 감각기의 자극을 중추 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의 명령을 반응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로,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으로 구성된다. 체성 신경계는 척수 반사와 같은 무조건 반사를 제외하고는 대뇌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인간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반응에 관계한다. 체성 신경계에는 뇌에서 나와 얼굴에 분포하는 12쌍의 뇌신경과 척수에서 나와 신체에 분포하는 31쌍의 척수 신경이 있다.
ⓑ 자율 신경계
대뇌의 직접적인 조절을 받지 않고 우리 몸의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신경계로, 운동 신경으로만 구성된다. 자율 신경은 그 말단이 각종 내장과 혈관에 분포되어 있으며, 심장 박동, 호흡, 소화, 호르몬 분비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한다. 자율 신경계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구성된다.
> 조절 중추
자율 신경계의 중추는 간뇌와 연수이다.
> 자율 신경계의 뉴런
체성 신경은 중추 신경과 연결된 뉴런이 직접 반응기나 감각기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자율 신경은 중추 신경계로부터 특정 내장 기관까지 2개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경절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교감 신경은 절전(앞쪽) 뉴런이 짧고, 부교감 신경은 절후(뒤쪽) 뉴런이 짧다.
>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기능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같은 내장 기관에 함께 분포한다. 교감 신경의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고, 부교감 신경의 말단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분비된다.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절후 뉴런의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두 신경은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여 내장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을 길항 작용이라고 한다.
구분 |
심장박동 |
호흡운동 |
동공 |
소화운동 |
침 분비 |
혈관 |
혈압 |
혈당량 |
교감신경 |
촉진 |
촉진 |
확대 |
억제 |
억제 |
수축 |
상승 |
증가 |
부교감신경 |
억제 |
억제 |
축소 |
촉진 |
촉진 |
확장 |
하강 |
감소 |
교감 신경은 갑작스런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부교감 신경은 지속적이며 완만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 자율 신경의 분포
교감 신경은 척수의 중간 부분에서 나와 각 기관에 분포하고, 부교감 신경은 중뇌와 연수 및 척수의 꼬리 부분에서 나와 각 기관에 분포한다.
교감 신경은 개개의 절전 뉴런이 교감 신경절에서 여러 개의 절후 뉴런과 시냅스를 이룬 후 각 장기에 분포하므로 교감 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여러 기관이 한꺼번에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부교감 신경은 개개의 절전 뉴런이 한 개의 절후 뉴런과만 시냅스를 이루어 한 기관에만 분포하므로 그 기관에만 영향을 미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