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8-7. 생식과 발생
<생식 주기와 임신>
1. 여성의 생식 주기
① 여성의 생식 주기
여성의 생식 주기는 여포기, 배란기, 황체기, 월경기로 구분된다.
ⓐ 여포기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여포 자극 호르몬(FSH)에 의해 난소에 있는 여포 중 한 개가 생장한다. 여포가 생장함에 따라 그 안에 있는 난자도 성숙하며, 에스트로겐을 분비한다.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벽을 두껍게 하며, FSH의 분비를 억제하여 다른 여포의 성숙을 막는다.
? 여포기
뇌하수체 전엽 ⇨ 여포자극 호르몬 분비 ⇨ 한 개의 여포 생장(난소)
⇨ 여포 생장에 따른 난소의 성숙 ⇨ 에스트로겐 분비(여포)
⇨ 자궁 내벽 두껍게, FSH 억제 ⇨ 다른 여포의 성숙 억제
ⓑ 배란기
여포가 성숙하여 혈액 속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하면, 뇌하수체 전엽에서 황체 형성 호르몬(LH)의 분비가 촉진된다. 혈액 속의 LH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성숙한 여포가 파열되어 제 2난모 세포가 난소 밖으로 방출된다(배란). 배란된 세포는 수란관 안으로 이끌려 들어간다.
? 배란기
에스트로겐 농도 증가 ⇨ 뇌하수체 전엽 ⇨ 황체 형성 호르몬(LH) 분비
⇨ LH 농도 증가 ⇨ 여포 파열 ⇨나소 방출(배란)
ⓒ 황체기
배란이 일어난 여포는 노랗게 변하여 황체가 되며,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 내벽을 더욱 두껍게 발달시켜 유지하며,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FSH와 LH의 분비를 억제하여 새로운 여포의 성숙과 난자의 배란을 막는다.
? 황체기
배란 뒤 여포 ⇨ 황체(노란색) ⇨ 프로게스테론 분비 ⇨ 자궁 내벽 두껍게 발달 유지
⇨ FSH, LH 분비 억제
ⓓ 월경기
배란된 난자가 수정에 실패하여 임신이 되지 않으면 황체는 급격히 퇴화하며,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량도 감소한다. 혈액 속의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감소하면 필요 없게 된 자궁 내벽의 세포층이 다량의 혈액과 함께 질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을 월경이라고 한다. 뇌하수체에서는 FSH를 분비하여 새로운 생식 주기가 다시 시작된다.
? 월경기
수정 실패 ⇨ 황체 퇴화 ⇨ 프로게스테론 감소 ⇨ 두터웠던 자궁내벽 세포층과 혈액으로 배출 ⇨ 뇌하수체 전엽 ⇨ FSH 분비 ⇨ 새로운 배란 주기 시작
● 생식주기 호르몬과 기초 체온
그림은 여성의 생식 주기 동안 호르몬과 체온, 자궁 내벽의 두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생식주기 호르몬과 기초 체온 간의 관계를 비추어 보면 황체 형성 호르몬(LH)이 최대일 때 기초 체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아 배란일에 기초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남성의 생식 조절
남성의 생식 기관의 기능도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남성의 뇌하수체에서도 FSH와 LH가 분비되는데, 여성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분비되며 그 기능도 다르다. FSH는 정자의 형성을 촉진하고, LH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한다.
FSH와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정자의 생산량이 많아지면 세정관에서 뇌하수체 전엽의 작용을 억제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높아지면 피드백에 의해 시상 하부의 호르몬 분비를 억제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자의 생산량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