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8-16.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F
5. 건전한 성 윤리
① 건전한 성 의식
남녀는 사춘기에 이르러 성적으로 성숙하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성에 대해 올바른 지식과 의식을 가져야 한다.
② 성병의 종류와 증상
ⓐ 임질
임질균에 의해 생기는 가장 흔한 성병이다. 남성의 경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면서 녹색을 띤 황색 고름 같은 분비물이 요도 끝에서 나온다. 여성의 경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기도 하고 고름 같은 냉이 흐르기도 하지만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감염된 사실을 모르고 치료를 하지 않아 골반염 등을 앓거나 계속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다. 임산부가 임질에 걸리면 사산하거나 분만을 할 때 아기의 눈 결막에 임질균이 감염되어 시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 매독
매독균에 의해 생기며, 90% 이상이 성 접촉으로 감염된다. 1차 단계에는 매독균이 침입한 곳이 피부가 헐어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긴다. 2차 단계에서는 매독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 피부 발진이 생기는데, 발진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피부 발진이 없어진 후 수개월에서 수년의 잠복기를 거친 후 3차 단계에 들어선다. 3차 단계에서는 아무 증상도 없다 갑자기 심장병이 생기거나 실명, 신체의 일부 마비 등이 나타나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임산부가 매독에 걸리면 기형아를 출산하거나 사산할 수 있으며, 선천성 매독에 걸린 아기가 태어날 수 있다.
ⓒ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HIV(에이즈 바이러스)에 의해 생긴다. 75% 정도가 성 행위를 통해 전염되고, 수혈, 모체로부터 태아로의 수직 감염, 오염된 주사기의 사용 등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하면 발열, 인두염, 식욕 감퇴, 체중 감소, 피부 발진 등이 오다가 대개 저절로 없어진다. 그 후 약 10년 동안 아무 증상이 없다가 T 림프구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면역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말기 상태에 이르면 면역 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에서 체내 주요 기관이 균에 의해 감염되어 사망한다.
ⓓ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외음부가 허는 병으로, 피부나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1차 감염되면 전신 무력감, 열, 두통이 나타나다가 감염된 피부와 점막 부위의 작은 수포들이 생기기 시작한다. 1차 감염 시 바이러스가 신경을 타고 척추 근처의 신경절에 자리 잡기 때문에 거의 평생 동안 재발한다.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를 하더라도 신경절에 자리 잡은 바이러스를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재발 감염은 1차 감염보다 증상이 약하고 회복되는 기간도 짧다. 임산부가 헤르페스에 걸리면 태아의 뇌 손상이나 사산을 일으킬 수 있다.
③ 성병의 예방과 치료
성병의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 심지어 자식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일단 감염이 되면 조기에 발견하여 완치될 때까지 치료해야 한다.
ⓐ 성병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성 생활을 자제하고 불건전한 성 접촉을 피한다.
ⓑ 성병의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의사의 진단을 받고, 부부가 함께 치료를 받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