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② 2-1.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삼투현상, 확산)
1.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이동
살아 있는 세포에서는 끊임없이 물질의 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물질의 이동은 세포막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세포 내의 상태에 따라 조절된다.
1) 세포막의 특성 : 용매만 통과시키고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반투과성 막이다.
2) 물질 이동의 종류
① 수동적 이동 : 에너지의 소비 없이 일어난다. (예) 확산, 삼투압
② 능동적 이동 : 에너지를 소비한다. (예) 능동 수송, 내포 작용, 외포 작용, 나트륨-칼륨 펌프 등
2. 수동적인 물질 이동
1) 확산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용질이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농도가 평행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① 확산 현상의 특징
ⓐ 물질의 이동의 기본적인 현상으로, 분자 운동에 의해 일어난다.
ⓑ 분자의 크기가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커져 확산 속도가 빨라진다.
ⓒ 농도가 다른 물질 사이에서 확산이 일어날 때에는 농도차이가 클수록 확산 속도가 빨라진다.
ⓓ 용액 내에 여러 종류의 물질이 섞여 있는 경우, 각 물질은 다른 물질과는 관계없이 농도가 평행에 이를 때까지 독립적으로 확산 운동을 한다.
② 확산의 예
ⓐ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물질 이동이나. 세포막을 통한 물과 이산화탄소, 산소,
무기염류 등의 출입은 확산을 통한 것이며, 스트로이드 호르몬 등 지성용 분자들도 세포막의 인지질 이중막을 통해 직접 확산된다.
ⓑ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가스 교환도 확산을 통해 일어나며, 분압의 차이가 클수록 확산 속도가 빠르다.
2) 삼투
① 반투과성 막 : 세포막이나 세로판 종이, 달걀의 속껍질 등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용매만 통과시키는 막을 말한다.
- 자관을 이용한 반투과성 막 실험 반투과성 막을 사이에 두고
자관의 한쪽에는 증류수를 넣고 다른 쪽에 설탕용액을 넣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탕 용액 쪽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것은 반투관성 막이 설탕분자(용질)는 통과 시키지 않지만 물 분자(용매)는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② 삼투 현상 :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이다.
ⓐ 삼투압 : 삼투로 인하여 반투과성 막이 받는 압력이다.
ⓑ 삼투압의 차이가 클수록 수면의 높이 차도 커진다.
③ 세포와 삼투압 : 어떤 용액과 비교하여 삼투압이 같은 용액을 등장액, 삼투압이 높은 용액을 고장액, 삼투압이 낮은 용액을 저장액이라고 한다.
④ 동물 세포의 삼투 현상
ⓐ 적혈구를 등장액에 넣으면 : 아무런 변화가 없다.
ⓑ 적혈구를 저장액에 넣으면 : 삼투현상에 의해 물이 적혈구 안으로 들어온다. 적혈구는 팽창하다가 결국에는 세포막이 터지는 용혈 현상이 일어난다.
ⓒ 적혈구를 고장액에 넣으면 : 삼투 현상에 의해 적혈구 속의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 적혈구가 수축하게 된다.
⑤ 식물 세포의 삼투현상 : 식물세포는 세포벽이 있으므로 세포막이 터지거나 세포 전체가 수축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 식물 세포를 등장액에 넣으면 : 아무런 변화가 없다.
ⓑ 식물세포를 저장액에 넣으면 :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온다. 세포의 부피가 커지지만 식물 세포에는 단단한 세포벽이 있기 때문에 세포가 팽창해도 터지지 않는다. 식물 세포가 최대로 팽창한 상태를 팽윤 상태라고 한다.
ⓒ 식물세포를 고장액에 넣으면 : 삼투 현상에 의해 식물 세포속의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간다. 세포질의 부피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러한 형상을 원형질 분리라고 한다.
-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 세포를 저장액에 넣어 두면 잠시 후 세포의 부피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원형질 분리는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일어난다.
ⓓ 식물 세포의 흡수력
- 식물세포에서 세포가 물을 흡수하는 힘이다.
- 흡수력 (S) = 삼투압(P) - 팽압(W)
- 팽압 : 저장액 속에서 식물 세포벽에 가해지는 압력이다.
- 세포가 물을 흡수하면 팽압이 점점 커지고 삼투압은 점점 작아진다.
- 팽압과 삼투압이 같아지면 물은 더 이상 흡수되지 않는다. (팽윤형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