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② 4-5. 광합성에 과정, 암반응
5. 광합성과정 암반응
①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효소의 반응이다.
② 명반응에서 생성된 와
를 이용하여
를 고정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이다.
③ 칼빈회로의 발견
ⓐ 반응의 진행시간에 따라 식물에서 생성되는 물질을 조사하여 어떤 과정으로 포도당이 합성되는지 추적하였다.
ⓑ 방사성 동위 원소가 들어 있는 를 클로렐라에 공급하고 광합성을 진행시키면서 끓인 알코올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회로를 완성하였다.
④ 칼빈회로의 과정
ⓐ 의 고정
가 리불로오스이인산
과 결합하여 인글리세르산
이 합성된다.
- 의 최초 수용체는
이고, 최초 생성물은
이다.
ⓑ 의 환원 :
가
에너지에 의해 이인글리세르산
이 되며 이어서
로부터 수소를 받아 인글리세르알데히드
가 된다.
ⓒ 포도당 생성
분자의
중
분자는 포도당으로 합성되고, 나머지
분자의
은
를 거쳐
분자의
로 재생된다.
⑤ 암반응의 요약
[암반응 정리]
1. 명반응에 이어서 일어나는 암반응은 명반응에서 생성된 의 에너지와
에서 유리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기공에서 흡수한
를 포도당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이다. 이 반응은 여러 종류의 효소의 촉매 작용으로 진행되므로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난다.
2. 칼빈회로 년 칼빈과 그의 공동 연구자들은 방사성 동위원소
가 들어 있는
를 클로렐라에 공급하고 잠시 동안 광합성을 시킨 후 끓인 알코올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리고 이 클로렐라를 분해하여
의 행방을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적하였다.
3. 그 결과 아주 짧은 시간(초 정도)안에
의 대부분이 인글리세르산
에서 검출되어 이 결과로 이산화탄소가 엽록체 내로 들어가서 만드는 최초의 대사산물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후 칼빈은 광합성 시간을 늘려가면서
로부터 포도당이 생성되기까지의 중간 과정을 계속 추적하였다.
그리고 탄소 원자가 한 개인 가 들어가서 어떤 물질과 결합하여 최초의 생성물인
가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4. 실험으로 검출되는 동화 산물을 계속 추적해 감에 따라 와 결합한 화합물은
물질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즉,
탄당 인산인 리불로오스이인산
이
와 결합하여 불안한
탄당으로 되고, 이것은 곧
탄소 화합물인 인글리세르산
두 분자로 나누어진다.
5. 이 는 명반응에서 만들어진
를 받아 이인산 글리세르산
이 되며, 이것은 다시
의 수소를 받아 인글리세르알데히드
가 된다. 이
의 일부는 포도당의 합성에 쓰이며, 나머지는 여러 경로를 거쳐 다시
로 변화되어 새로운
분자와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계속되는 암반응의 순환 경로를 칼빈회로라고 한다.
[심화] 식물
① 식물 : 벼, 보리 등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의 암반응이 칼빈회로로 이루어지므로 광합성의 초기 생성물은
탄소 화합물
인
이다. 이러한 식물을
식물이라고 한다.
② 식물 : 식물에 따라서는 암반응 과정이 전혀 다르게 일어나 광합성의 초기 생성물이 옥살 아세트산이나 말산과 같은
탄소 화합물
인 것도 있는데 이들을
식물이라고 하며, 잔디, 억새, 옥수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식물의 암반응은 칼빈회로와
유기산을 만드는 두 개의 회로를 연속적으로 거치는데,
는 먼저
유기산을 만들고 나서 칼빈회로로 들어간다.
③ 이러한 식물은
식물에 비해서 높은 온도와 강한 광선에서 광합성의 속도가 빠르며, 또 같은
농도에서도
식물에 비해 광합성이 더 잘 일어난다.
식물의 이러한 높은 광합성 효율 때문에, 최근에는 유전학적 방법으로
식물을
식물로 개량하여 식량 중신을 높이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