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명과학 ② 5-4. 호흡기질과 호흡률
4. 호흡 기질과 호흡률
1) 호흡 기질 : 호흡 기질은 주로 탄수화물이 이용되지만, 단백질과 지방도 적당한 형태로 변형되어 해당 과정이나 회로로 들어간다.
① 지방 :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된 후, 지방산은 활성 아세트산으로, 글리세롤은 피루브산으로 변하여 호흡 회로에 들어간다.
ⓐ 지방산 → (산화 ) → 활성아세트산 → 회로
ⓑ 글리세롤 → → 피루브산 → 회로
② 단백질 : 아미노산으로 가수 분해되어 호흡 회로로 유입된다.
ⓐ 우선 아미노산으로 가수 분해된다.
ⓑ 탈 아미노 반응에 의해 아미노기가 이탈되어 유기산이 된 후 회로 로 들어간다.
2) 호흡률
영양소가 분해될 때 소모되는와 생성되는의 부피비로, 호흡 기질에 따라 다르므로 호흡률로 호흡에 사용된 호흡 기질을 알 수 있다. 탄수화물은 1, 지방은 0.7, 단백질은 0.8이다. 호흡기질의 종류에 따라 의 구성비가 다르기 때문에 호흡률이 각각 다르다.
① 포도당의 호흡률
호흡률
② 지방산의 호흡률
호흡률
③ 아미노산의 호흡률
호흡률
[ 호흡률의 측정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1시간 후 표의 결과를 얻었다.
①에서 부피 변화는 산소 소모량에서생성량을 뺀 값이다.
②에서 부피 변화는 산소 소모량이다. 생성된는 모두용액에 용해되었기 때문이다.
결론 : 따라서의 생성량은에 해당하므로 콩이 발아할 때 호흡률은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