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② 10-3. 원생생물의 특징과 종류
1) 원생생물의 특징
① 대부분 단세포이며, 핵막과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등의 세포 소기관이 있다.
② 진핵 세포를 가진 생물들 중에서 균계, 식물계, 동물계로 분화되기 전의 생물군이다.
2) 원생생물의 분류 : 원생동물류, 점균류, 조류로 구분한다.
① 원생동물류
동물처럼 종속 영양 방법으로 양분을 섭취하는 생물군이다.
ⓐ 편모류 : 원핵생물에 가장 가까운 진핵 생물로, 이분법으로 증식한다.
•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편모를 가지고 이동하며, 주로 민물이나 바다에 산다.
• 수면병을 일으키는 트리파노소마는 기생 생활을 하며, 유글레나는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하므로 동물과 식물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 종류 : 식물성 편모류(유글레나, 클라미도모나스)와 동물성 편모류(트리파노소마, 야광충,뿔말)가 있다.
ⓑ 위족류 : 위족으로 운동하며, 일정한 모양이 없다.
• 먹이의 주위를 위족으로 둘러싸 식포를 형성하여 먹이를 삼킨다..
• 발생 단계 중 편모를 가지는 시기가 있으며, 주로 이분법으로 번식한다.
• 종류 : 아메바, 방산충, 태양충, 유공충 등
ⓒ 포자류
• 포자를 형성하고, 모두 기생 생활을 하며,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을 모두 거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다.
• 운동 기관이 없지만, 생활사 중 편모나 위족을 가지는 시기가 있다.
• 생활사중 많은 포자를 만들어 증식하는 시기가 있다.
• 말라리아병원충은 사람과 모기를 숙주로 모기속에서는 유성 생색을 하고, 사람의 적혈구 속에서는 무성 생식을 한다.
• 종류 : 말라리아병원충, 미립자병원충 등
ⓓ 섬모류
• 몸 표면의 수많은 섬모로 운동하고, 식포로 세포 내 소화를 하며, 수축포를 통하여 배설한다.
• 대부분 대핵(영양핵)과 소핵(생식핵)을 갖는다.
• 주로 이분법으로 번식하며, 환경이 나쁘면 접합을 통해 유성 생식을 한다.
• 짚신벌레, 종벌레, 나팔벌레 등
② 점균류
변형균류라고도 한다. 썩은 나뭇잎이나 식물의 사체 등에 붙어살며, 생활사 중 편모형이나 아메바형의 동물형 단계와 포자형의 식물형 단계를 거친다.
ⓐ 비세포성 점균류
• 아메바형 시기 : 커다란 아메바형(원형질) 덩어리(변형체)로 존재하고, 이동할 때는 전체 원형질이 움직인다. 위족을 내어 이동하고 먹이를 잡는다.
• 포자낭 형성기 : 환경이 나빠지면 포자낭을 형성하여 포자를 생성한다. 포자는 물기가 있는 곳에 떨어지면 발아하여 편모 운동을 하는 유주자가 된다.
• 종류 : 자주먼지곰팡이 등
ⓑ 세포성 점균류 : 비세포성 점균류와는 달리 아메바형 세포들이 각각의 개체성을 유지하는 군락을 이룬다.
• 단세포기 : 먹이가 풍부할 때 단세포로 지내며, 체세포 분열 방식으로 증식한다.
• 다세포기 : 먹이가 부족해지면 여러 개의 세포가 뭉쳐 다세포성 군락을 이루며, 세포들의 표면에서 끈적끈적한 셀룰로오스를 분비한다.
• 종류 : 딕티오스텔리움 등
물곰팡이류 |
물곰팡이류는 균류처럼 실 모양으로 생장하는 균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균류 중 접합균류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편모가 달려 있는 포자와 셀룰로오스가 포함된 세포벽 등으로 인하여 원생 생물로 분류된다. 물곰팡이류는 주로 균사에서 만든 포자나 유주자에 의한 무성 생식을 하지만, 불리한 환경에서는 균사의 접합에 의한 유성 생식을 한다. 몇몇 물곰팡이는 물에서 살면서 상처가 있거나 병든 동식물을 감염시킨다. 육상에 사는 물곰팡이류는 위협적인 기생성 병원균으로, 노균병이나 역병을 일으켜 농작물에 해를 입힌다. 그러나 물곰팡이류는 사체를 분해하므로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③ 조류
광합성을 하는 원생 생물로, 대부분 단세포이지만 군체를 이루거나 다세호성인 경우도 있다.
ⓐ 규조류(황갈조류)
•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부분 단세포 생물이다
• 세포벽에 규산질이 있어 이들 껍질이 바다 밑에 쌓이면 규조토가 된다.
• 색소로는 엽록소와 규조소(황갈색)를 가지고 있다.
• 이분법에 의해 증식하거나 증대 포자를 형성하여 유성 생식을 한다.
• 종류 : 뿔돌말, 깃돌말, 별돌말, 실패돌말 등
ⓑ 홍조류
• 다세포성 조류로, 엽록소이외에 홍조소를 가지고 있어 붉은색을 띤다.
• 비교적 깊은 물 속까지 도달할 수 있는 청색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한다.
• 수정에 의한 유성 생식과 포자에 의한 무성 생식을 번갈아 하는 세대 교번을 하며, 부동 포자를 갖는다.
• 종류 : 김, 우뭇가사리, 풀가사리, 해인초 등
ⓒ 쌍편모조류(황적조류)
• 단세포성으로 군체를 이루기도 하는 식물성 플랑크논으로, 먹이 연쇄의 생산자가 되며, 편모로 이동한다.
• 광합성을 하는 종류는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가지고 있다.
• 주로 이분법에 의해 번식하며, 세포 융합에 의한 유성 생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 쌍편모조류가 급격히 증가하면 물이 군데군데 분홍빛이나 주황빛을 띠는 적조 현상이 나타나 어패류의 폐사를 일으킨다.
• 종류 : 짐노디니움, 코클로디니움, 케라튬 등
ⓓ 갈조류
• 다세포 생물로, 바위 등에 부착 생활을 하며 바닷말 중 가장 크고 복잡하다.
• 색소로 엽록소와 갈조소를 가지고 있다.
• 포자에 의한 무성 생색과 배우자에 의한 유성 생식을 번갈아 하는 세대 교번을 한다.
• 세포벽에 요오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종류 :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등
ⓔ 녹조류
• 대부분 민물에서 생활하며, 단세포, 군체, 다세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광합성 색소로 열록소 카로틴, 크산토필 등을 가지고 있다.
• 엽록소를 가지며 광합성 산물이 녹말이고, 세포벽이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어 육상 식물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 녹조류의 종류
원핵생물과 원생생물의 분류 |
다음은 여러 가지 원핵생물과 원생생물을 분류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계통수로 나타낸 것이다.
① 원핵생물과 원생생물의 차이는 핵막과 세포 소기관의 유무이다
② 원핵생물은 세포벽의 물질 조성 등에 따라 시원세균류와 진정세균류로 나뉜다.
③ 원생생물은 단세포인지, 다세포인지와 광합성의 여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결론 : 원핵생물이 진화된 결과 원생생물이 생겨났으며, 원생생물은 오늘날의 식물과 동물의 조상이다. 원생생물은 종속 영양 생물인 원생동물류와 식물을 닮은 조류, 균류를 닮은 점균류로 나뉜다.
포스팅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해당업체에 있으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집하였음을 밝힙니다.
공감 클릭은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