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4-3. 호흡 - 기체 교환의 원리
◈ 호흡운동과 기체 교환
1. 기체 교환의 원리
호흡 운동을 하는 동안 폐포로 들어온 외부 공기속의 산소는 혈액을 거쳐 조직 세포로 공급되고, 조직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혈액을 거쳐 폐포로 이동하여 방출된다. 이때 폐포와 혈액,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에서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기본 원리는 분압차에 의한 확산이다.
① 외호흡 (모세혈관 - 폐포)
폐포의 공기와 모세 혈관의 혈액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체 교환이다.
ⓐ 폐포에서의 산소 확산
폐에서는 산소가 산소 분압이 높은 폐포 쪽에서 산소 분압이 낮은 혈액 쪽으로 확산되어 들어간다.
ⓑ 폐포에서의 이산화탄소 확산
모세혈관의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은 혈액 쪽에서 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은 폐포 쪽으로 확산되어 나간다.
ⓒ 위의 과정에서 정맥혈 상태이던 혈액은 동맥혈로 바뀌게 되고 이 상태로 혈액의
순환 경로를 따라 조직으로 이동한다.
② 내호흡 (모세혈관 - 조직세포)
폐포에서 기체 교환을 마친 혈액이 순환하는 동안 온몸 퍼져있는 모세 혈관의 혈액과 조직 세포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체 교환이다.
ⓐ 조직세포로의 산소 확산
조직에서는 산소가 산소 분압이 높은 혈액 쪽에서 산소 분압이 낮은 조직 쪽으로 확산되어 들어간다.
ⓑ 모세혈관으로의 이산화탄소 확산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은 조직 쪽에서 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은 혈액 쪽으로 확산되어 나간다.
ⓒ 위의 과정에서 동맥혈 상태이던 혈액은 정맥혈로 바뀌게 되고, 이 상태로 혈액의
순환 경로를 따라 폐로 이동한다.
③ 이와 같이 기체들은 전체 기압차에 의해서가 아니라 분압차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산소의 이산화탄소의 이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 교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