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7-2.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A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7-2.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A

2.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을 통틀어 내분비계라고 한다. 사람의 내분비계는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뇌하수체

간뇌의 시상 하부 밑에 있으며, 전엽, 중엽, 후엽으로 나뉜다. 사람의 경우 성인이 되면 중엽은 흔적만 남는다.

ⓐ 뇌하수체 전엽

시상 하부에 의해 조절되며, 주로 다른 내분비선의 기능을 조절하는 자극 호르몬이 분비된다.

* 생장 호르몬(GH, Growth Hormone)

근육과 뼈의 발달을 촉진하여 몸이 생장하도록 한다. 어린이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며, 분비량이 적으면 소인증이 되고 많으면 거인증이 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호르몬 중 내분비선이 아닌 일반 표적 기관에 작용하는 호르몬이다.

*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갑상선을 자극하여 티록신 분비를 촉진한다.

*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ACTH, AndrenoCortico Trophic Hormone)

부신 피질을 자극하여 코르티코이드의 분비를 촉진한다.

* 여포 자극 호르몬(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여성에서는 난소의 여포를 성숙시키고, 남성에서는 *세정관을 발달시켜 정자의 생산을 촉진한다.

* 세정관 : 정소 속에 들어있는 가늘고 긴 관.세정관 벽에서 정자가 형성된다.

* 황체 형성 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

여성에서는 배란을 촉진하여 황체를 발달시키고, 남성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한다.

* 젖 분비 자극 호르몬(프로락틴, prolactin)

임신 도중과 출산 후 분비되어 외분비선인 젖샘의 발달과 젖의 분비를 촉진한다.

ⓑ 뇌하수체 후엽

* 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 ADH, AntiDiuretic Hormone)

신장의 집합관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오줌량을 줄이고,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인다.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하면 요붕증 증세가 나타난다.

* 옥시토신(자궁 수축 호르몬)

아기를 낳을 때 자궁근을 수축시켜 분만이 쉽게 일어나도록 한다.


② 갑상선과 부갑상선

갑상선은 목에서 성대 아래쪽 기관의 연골에 붙어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선이고, 부갑상선은 갑상선의 뒤쪽에 있는 콩알 크기의 두 쌍(4개)으로 이루어진 내분비선이다.

ⓐ 티록신

요오드(I)를 함유하는 호르몬으로, 세포 호흡을 빠르게 하여 물질 대사를 촉진하며, 체온 상승, 심장 박동 증가 등을 일으킨다.

ⓑ 칼시토닌(혈액 내 농도가 높을 때)

혈액 내 의 농도가 높을 때 갑상선에서 분비가 촉진되어 뼈로부터 칼슘이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혈액 속의 을 뼈에 침착시키며, 신장에서 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액의 농도를 낮춘다.

ⓒ 파라토르몬(혈액 내 농도가 낮을 때)

혈액 내 의 농도가 낮을 때 부갑상선에서 분비가 촉진되어 뼈로부터 혈액으로 칼슘을 방출시키고, 신장과 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혈액의 농도를 높인다.

파라토르몬의 분비량이 과다하면 뼈로부터 칼슘이 많이 빠져 나가 뼈가 약해진다. 반대로 파라토르몬의 분비량이 부족하면 이 관여하는 혈액 응고나 근수축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근육의 경련과 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