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7-3.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B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7-3.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B

2.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③ 부신

양쪽 신장의 윗부분을 덮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피질과 수질로 구분된다.

ⓐ 부신 피질

부신 피질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을 통틀어 코르티코이드라고 한다.

* 당질 코르티코이드(코티솔)

간세포에 작용하여 지방이나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촉진함으로써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신장의 세뇨관에서 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혈액 내의 무기 염류 농도를 조절한다.

ⓑ 부신 수질

교감 신경의 조절을 받아 단시간 내에 반응하여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과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간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또, 심장 박동 촉진, 혈압 상승, 혈관 수축 등 교감 신경이 흥분했을 때와 같은 현상을 일으킨다.


④ 이자

이자는 소화 효소와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기관으로, 외분비선이면서 동시에 내분비선이다. 이 중에서 호르몬은 랑게르한스 섬이라는 세포 집단에서 분비된다. 랑게르한스 섬에는 세포와 세포 두 가지가 있다.

ⓐ 인슐린

이자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에서 분비된다.

간에서 혈액 속의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촉진하고,

혈액 내에 있는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켜 혈당량을 낮춘다.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면 당뇨병에 걸린다.

ⓑ 글루카곤

이자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에서 분비된다.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포도당을 혈액으로 방출하는 과정을 촉진하여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길항작용

㉠ 혈당량이 높을 때

   인슐린의 농도가 증가한다.

   인슐린은 혈당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 혈당량인 낮을 때

   글루카곤의 농도가 증가한다.

   글루카곤은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 혈당량의 변화에 따른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 양상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서로 반대되는 작용 즉, 길항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⑤ 생식선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여포 자극 호르몬(FSH)과 황체 형성 호르몬(LH)의 조절을 받아 성 호르몬을 분비한다.

ⓐ 정소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어 정자의 생산을 촉진하고, 목소리 변화, 수염 등 남성의 2차 성징이 나타나게 한다.

ⓑ 난소

여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이 나타나게 하고, 여성의 생식 주기에서 자궁 내벽의 발달을 촉진한다. 황체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은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벽을 두껍게 유지한다.

⑥ 그 밖의 내분비선

ⓐ 흉선

가슴의 중앙에 위치하는 내분비선으로 림프구(T 림프구)의 성숙을 촉진한다. 생식선의 발육과 성숙을 억제하며,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위축된다.

ⓑ 소화관

위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가스트린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십이지장벽에서는 세크레틴이 분비되어 이자액 분지를 촉진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