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8-3. 생식과 발생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8-3. 생식과 발생

감수분열 과정

① 정원세포 (그림 1번)

정원세포는 정자가 될 세포의 근원세포이다. 정원세포는 계속 체세포 분열을 해서 그 수를 늘린다.

② 제 1정모세포 (그림 2번)

정원세포는 DNA 복제를 통해 염색분체를 만든다.이때 염색체 하나가 갖게 되는 DNA의 총량은 정원세포의 2배이다.


제 1분열 (이형 분열 : 서로 다른 염색체 끼리 분열한다)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2n→n)

③ 상동 염색체의 접합 (그림 3번)

상동 염색체는 서로 접합하여 2가 염색체(4분 염색체)를 형성하고 2가 염색체가 적도면에 배열하면 양극에서 방추사가 나와 각 염색체의 동원체에 연결된다.

④ 2가 염색체의 분리 (그림 4번)

방추사에 의해 2가 염색체가 접합면에서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2n→n)

⑤ 제 2정모 세포 (그림 5번)

양극으로 끌려온 염색체가 해체되지 않은 채, 핵막이 생기고 세포질이 갈라져 2개의 제2 정모세포가 생기며, 곧이어 제 2분열이 일어난다.


제 2분열 (동형 분열 : 같은 것이 반으로 나뉜다)

염색체 수에는 변화가 없다. (n→n) 제 1분열을 마친 세포는 간기 없이 바로 제 2분열을 시작한다. 제 2분열은 체세포 분열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⑥ 제 2정모세포의 분리 (그림 6번)

염색체가 적도면에 배열하고, 방추사가 염색체의 동원체에 연결된다.

⑦ 정세포 (그림 7번)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방추사에 의하여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염색분체가 분리되어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염색체의 수는 변하지 않고 염색체의 DNA량은 반으로 줄어든다. 그리고 염색체가 염색사로 되면서 핵막과 인이 나타나 딸핵이 형성된다.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 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