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8-4. 생식과 발생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8-4. 생식과 발생

체세포분열 과정

체세포분열의 시기는 크게 간기와 핵 분열시기로 나뉜다.

㉠ 간기 (그림의 1번~2번))

간기는 세포분열이 끝난 후 *딸세포가 자라 다음 세포분열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기로 쉽게 말하면 다음 세포분열을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다. 즉, 세포 분열을 위한 준비 기간이므로 분열시기가 아니다.

* 딸세포(―細胞) : 세포 분열에 의하여 생긴 두 개의 세포. 낭(娘)세포.

세포분열을 준비하는 시기로 세포분열기보다 훨씬 길고, 이 시기에 염색체가 복제되어 2배로 증가한다. 그리고 간기에는 염색체가 염색사 상태로 풀어져 있어서 염색체가 관찰되지 않는다. (그림은 모식도이므로 염색분체로 표현하였다.)

㉡ 분열기

1. 전기 (그림의 2번과 3번 사이)

전기 때는 간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염색사가 엉겨 몇 개의 굵은 염색체를 형성하고 세포의 양극에서 방추사가 나오기 시작하여 핵막이 사라진다.

2. 중기 (그림의 3번)

염색체가 세포중앙(적도면)에 배열되고 양극에서 나온 방추사가 염색체에 붙는다. 기간 상으로 가장 짧은 시기로써 염색체 수와 모양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체세포 분열과정 중에서 염색체가 중간에 배열하는 것은 딱 한 번뿐인데 그때가 바로 중기이다.

3. 후기 (그림의 4번)

염색체가 양극으로 가고 있는 모양으로 바로 염색체가 2개의 염색분체로 분리되어 방추사에 이끌려 각각 양극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이때 하나의 염색체가 염색분체로 나뉘어 양극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DNA의 양이 반으로 줄어든다.

4.말기 (그림의 5번)

세포가 완전하게 둘로 나뉘는 단계이다. 세포분열 결과 생성되는 세포를 딸세포라고 하는데 이 과정을 생각해보면 하나의 세포가 체세포분열을 통해 2개의 딸세포가 생성되는 것 을 볼 수 있다.


? 체세포분열이 일어나는 이유

세포의 모양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같은 생물이라도 몸의 부분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동물세포는 둥근모양이고 식물세포는 다면체이다.

세포의 부피가 커지면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아져서 물질교환에 불리해지므로 세포는 어느 한계까지 자라면 세포분열을 해서 세포의 크기를 줄이게 된다.

그리고 생물체의 크기는 세포의 크기가 아니라 세포의 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생물체의 크기는 세포분열에 의해서 증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