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8-10. 생식과 발생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8-10. 생식과 발생

3. 피임

① 일시적인 피임법

ⓐ 생식 주기 이용법

여성의 생식 주기에서 배란일을 전후로 하여 성교를 피하는 방법이다. 비용이 들지 않고 부작용이 없지만, 여성의 생식 주기가 불규칙하면 효과가 없으며 피임 실패 확률이 매우 높다.

ⓑ 장벽 사용법

정자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정자와 난자가 만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 콘돔

아주 얇은 고무 재질의 주머니를 남성의 음경에 씌워 정자가 질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간편하고 성병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피임 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든다.

? 페미돔

여성용 콘돔으로, 얇은 고무 재질로 질 내부를 감싸 주어 정자가 자궁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피임 성공률은 콘돔과 비슷하게 높지만, 비용이 더 많이 든다.

? 패서리

여성의 질 안에 삽입하여 자궁 경부에 덮어 씌워서 정자가 자궁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구이다.

ⓒ 경구 피임약 이용법

피임약은 합성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제재로 되어 있어 난자의 성숙과 배란을 막는다. 월경이 끝난 후 3주간 복용하고, 1주 동안 복용을 멈추면 되므로 간편하고 효과적이며 성공확률이 높지만, 비싸고 매일 복용해야 하며 혈전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 자궁 내 장치 이용법

자궁 내에 기구(루프)를 삽입해서 정자의 이동을 방해하여 수정을 막거나, 수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자궁벽에 착상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한번 장착하면 유지되는 기간 동안은 번거롭지 않으며 피임 효과가 매우 높지만, 자궁 내 염증이나 허리의 통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② 영구 피임법

더 이상 아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 하는 피임법으로 100%에 가까운 피임 효과가 있다.

ⓐ 정관 수술

남성의 수정관을 외과적인 수술에 의해 절단하여 정자의 배출을 막는 것이다. 정관 수술을 하더라도 남성의 호르몬 분비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정자의 형성도 정상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수정관이 절단되어 정자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정액 속에 정자가 들어 있지 않게 된다.

ⓑ 난관 수술

여성의 수란관을 절단하여 정자가 자궁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배란된 난자와 만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난관 수술을 하더라도 호르몬 분비는 정상적으로 일어나므로 난자의 성숙과 배란 및 월경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