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8-11.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A
1. 태아의 발생
① 태반의 형성과 기능
ⓐ 태반의 형성
배가 자궁 내벽에 착상한 후 배와 모체 사이에 혈관이 발달하여 배 조직 일부와 모체의 자궁 내벽이 결합하여 태반을 형성한다. 배가 자궁 내막에 부착하면 자궁 내벽에 구멍을 파고 들어가 착상이 일어나고, 배의 바깥쪽을 구성하는 세포층이 혈관이 풍부한 모체의 조직으로 수많은 돌기를 내면서 파고든다. 그에 따라 자궁 내막의 모세 혈관이 터져 태아의 모세 혈관은 모체의 혈액에 잠기게 된다.
ⓑ 태반의 기능
태반은 태아와 모체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 물질 교환의 원리
태반에는 모체의 혈액이 가득 차 있어 확산 현상에 의해 태아의 모세 혈관과 모체의 혈액 사이에 물질 교환이 일어난다. 태아와 모체의 혈관은 연결되어 있지 않아 태아와 모체의 혈액이 직접 섞이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 교환이 일어나는 물질
산소, 영양소 및 일부 항체는 모체의 혈액으로부터 태아의 혈액으로부터 모체의 혈액으로 확산된다. 항체의 일종인 ABO식 혈액형의 응집소인 와 는 분자가 커서 태반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Rh 응집소인 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어서 경우에 따라 태아에게 적아 세포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모체가 복용한 약물이나 모체에 감염된 바이러스 등도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
② 탯줄
임신 4주 말쯤에 형성되며, 태반에서 나와 태아의 배꼽에 연결된다. 탯줄을 통해 모체로부터 영양분과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태아에게 공급되며, 태아로부터 나온 이산화탄소, 요소 등의 노폐물이 모체로 전달된다. 표면은 매끈한 막으로 덮여 있으며, 두 가닥의 동맥과 한 가닥의 정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탯줄의 정맥을 통해 모체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이 태아에게로 공급되며, 동맥을 통해 태아의 정맥혈이 태반 쪽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이 모체 혈액으로 배설된다.
③ 양막과 양수
배를 둘러싸는 가장 안쪽의 막을 양막이라고 하며, 그 안에는 양수가 가득 차 있다. 양수는 배가 발생하고 태아가 자라는 동안 건조해지는 것을 막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 태아가 양수 안에 떠 있기 때문에 모체의 자궁 속에서도 움직일 수 있다.
④ 태아의 발생
수정란이 세포 분열을 거듭하여 하나의 개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발생이라고 한다. 수정 후 임신 8주까지는 수정란이 분열하여 대부분의 주요 기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아직 신체 각 기관의 모습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배 또는 배아(embryo)라고 한다. 임신 8주가 지나면서 눈, 귀, 손가락, 발가락 등 대부분의 기관이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사람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임신 9주 이후부터는 태아(fetus)라고 부른다.
태아 시기에는 기관의 형성이 완성되어 가고, 생식기가 분화하여 뚜렷하게 성 구별이 가능해지며, 활발하게 움직여 태동이 나타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