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8-13.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C
2. 분만
① 분만
수정일로부터 266일 동안 모체에서 자란 태아는 자궁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를 분만이라고 한다. 분만일은 수정일로부터 266일 째 또는 임신 전 마지막 월경 첫날로부터 280일째가 된다.
② 호르몬 분비
ⓐ 옥시토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어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여 분만이 일어나게 한다. 옥시토신에 의해 자궁이 수축되면서 진통이 오고 태아의 머리가 자궁 경부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옥시토신의 분비량은 더욱 증가하여(양성 피드백) 분만이 일어난다.
ⓑ 젖 분비 자극 호르몬(프로락틴)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젖샘의 발달과 출산 후 젖 분비를 촉진하다.
젖 분비 자극 호르몬에 의해 출산 후 수일 내에 모체에서 젖이 나온다. 이때 분비되는 모유를 초유라고 하는데, 초유에는 영양 물질뿐만 아니라 갓 태어난 아기에게 필요한 항체가 들어 있어 신생아의 건강에 중요하다.
③ 분만 과정
ⓐ 1단계
자궁이 수축하여 진통이 시작되면 태아가 자궁 경부로 이동되어 자궁 경부가 확장되고 아기의 머리가 자궁 경부로 들어간다. 이때 진통 간격이 짧아지면서 양막이 파괴되어 양수가 질을 통해 흘러나온다.
ⓑ 2단계
자궁이 수축될 때마다 모체가 힘을 쓰게 되면, 복부 근육과 자궁 수축력에 의해 아기는 머리부터 질을 통과하여 태어나게 된다. 이때 아기는 여전히 탯줄에 의해 태반과 연결되어 있는데, 탯줄을 묶어 잘라냄으로써 모체로부터 분리된다.
ⓒ 3단계
자궁 속에 남아 있던 태반과 탯줄이 밖으로 배출되는 후산이 일어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