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9-8. 생식과 발생, 사람의 유전 연구 방법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9-8. 생식과 발생, 사람의 유전 연구 방법

사람의 유전

1. 사람의 유전 연구 방법

① 사람의 유전 연구가 어려운 이유

ⓐ 한 세대가 길다

사람의 한 세대는 30년 정도로 연구 결과를 빨리 볼 수 없으며, 한 연구자가 몇 세대에 걸친 유전 현상을 연구하기 어렵다.

ⓑ 자유로운 교배가 불가능하다

연구자 마음대로 사람을 실험 대상으로 선택하거나, 배우자를 임의로 결정해 결혼시킬 수는 없다

ⓒ 자손의 수가 적다

대부분 자손의 수가 몇 명 안 되므로 통계 처리를 하더라도 신뢰성이 낮아 일반화하기 어렵다.

ⓓ 형질이 복잡하고 유전자 수가 많다

형질의 종류가 매우 많고, 형질의 대립 관계가 불분명하거나 유전 현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분석이 어렵다. 또, 환경에 따라 개인차가 심하여 어떤 형질의 발현이 유전에 의한 것인지 환경에 의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② 사람의 유전 연구 방법

ⓐ 가계도 조사법

특정 유전 형질을 가진 집안의 가계 구성원 전체를 유전 형질을 조사하여 가계도로 나타낸 다음 유전 형질이 어떻게 유전된 것인지를 조사한다. ABO식 혈액형, 색맹 등의 유전이 이 방법에 의하여 밝혀졌다.

ⓑ 통계 조사법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그 집단에서이 유전자 발현 빈도 등을 조사한다.

ⓒ 쌍생아 연구

일란성 쌍생아와 이란성 쌍생아를 비교하여 형질이 차이가 유전자와 환경 중 어느 것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는지를 연구한다.

* 일란성 쌍생아

1개의 난자와 1개의 정자가 수정하여 만들어진 수정란이 발생 초기에 둘로 나뉘어져 각각 자란 쌍생아이다. 쌍생아끼리 유전자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들 쌍생아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는 환경의 영향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태어난 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일란성 쌍생아를 연구하면 그 차이를 더 정확하게 유추할 수 있다.

* 이란성 쌍생아

동시에 2개의 난자가 배란되어 각각 다른 정자와 수정하여 만들어진 2개의 수정란이 발생하여 자란 쌍생아이다. 쌍생아끼리는 유전자 구성이 다르므로 함께 자란 일란성 쌍생아와 이란성 쌍생아들의 유사점을 비교하면, 그 형질이 나타나는 데 유전과 환경이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