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9-9. 생식과 발생, 상염색체의 의한 유전
◈ 사람의 유전
2. 상염색체의 의한 유전
① 단일 인자 유존
상염색체에 있는 한 쌍의 유전자에 의해 형질이 결정되는 유전을 ‘단일 인자 유전‘이라고 한다.
ⓐ 대립 유전자가 2가지인 경우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한 쌍 있으며 대립 유전자가 2가지인 유전 형질은 대립 형질이 뚜렷하다.
유전 형질 |
우성 > 열성 |
유전 혈질 |
우성 > 열성 |
PTC 미맹 |
정상 > 미맹 |
혀말기 |
가능 > 불가능 |
이마선 |
V자형 > 일자형 |
눈꺼풀 |
쌍꺼풀 > 외꺼풀 |
귓불 모양 |
분리형 > 부착형 |
보조개 |
있는 것 > 없는 것 |
엄지의 모양 |
굽는것 > 안 굽는것 |
손가락 수 |
단지, 다지 > 정상 |
머리카락 모양 |
곱슬머리 > 직모 |
Rh형 |
형 > 형 |
유전 형질 |
우성 > 열성 |
PTC 미맹 |
정상 > 미맹 |
이마선 |
V자형 > 일자형 |
귓불 모양 |
분리형 > 부착형 |
엄지의 모양 |
굽는 것 > 안 굽는 것 |
머리카락 모양 |
곱슬머리 > 직모 |
혀말기 |
가능 > 불가능 |
눈꺼풀 |
쌍꺼풀 > 외꺼풀 |
보조개 |
있는 것 > 없는 것 |
손가락 수 |
단지, 다지 > 정상 |
Rh형 |
형 > 형 |
ⓑ 복대립 유전
하나의 유전 형질을 표현하는 데 3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관여하는 경우를 복대립 유전이라고 한다. 사람의 ABO식 혈액형이 이에 해당한다.
* ABO식 혈액형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달라붙어 항원으로 작용하는 응집원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자 A는 적혈구의 표면에 응집원 A를 만들고, 유전자 B는 응집원 B를 만들며, 유전자 O는 응집원을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유전자형이 AA, AO일 경우 유전자 A에 의해 응집원 A만 만들어지고, 유전자형이 BB, BO일 경우에는 유전자 B에 의해 응집원 B만 만들어진다. 반면에 유전자형이 AB일 경우에는 유전자 A와 B에 의해 응집원 A와 B가 모두 만들어지게 된다. 결국 유전자 A와 B는 O에 대해 우성이고, A와 B 사이에는 우열이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ABO식 혈액형의 유전자형은 AA, AO, BB, BO, AB, OO의 6가지이고, 표현형은 A형, B형, O형의 4가지이다.
② 다인자 유전
하나의 형질 발현에 두 쌍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유전 현상을 다인자 유전이라고 한다.
다인자 유전은 많은 수의 유전자가 하나의 형질 발현에 관여하여 다양한 표현형이 나타나므로 대립 형질의 우열 관계를 판별하기 어렵다. 다인자 유전 형질의 발현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서 형질의 측정값을 도수 분포도로 표시하면 연속적인 정규 분포곡선으로 나타난다. 다인자 유전 형질로는 사람의 피부색, 키, 몸무게, 발 크기, 지능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