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10-8.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현상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10-8.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현상

인간과 생태계

ⓓ 수질 오염 현상

* 부영양화

생활 하수나 가축의 분뇨 등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물속에 질산염이나 인산염이 증가하는 것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부영양화 된 하천이나 호수에서는 남조류와 녹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여 물이 녹색으로 보이는 ‘녹조 현상’이 나타난다. 또, 오염 물질이 다량 바다로 흘러들어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면 물이 붉게 보이는 ‘적조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조류의 지나친 증식은 햇빛이 물속으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생 식물의 생장을 방해한다. 또한, 조류의 사체가 세균에 의해 분해될 때 독성 물질이 나오고 물속에 목아 있는 산소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수생 생물이 떼죽음을 당하게 된다.

㉠ 하천의 부영양화

   오염된 물 유입 ⇨ 질산염과 인산염 증가 ⇨ 남조류, 녹조류 증가 ⇨ 녹조현상

㉡ 바다의 부영양화

   오염된 물 유입 ⇨

         

규조류, 편모조류 증식 ⇨

 적조현상 ⇨ 햇빛 차단 ⇨ 수중 생물 생장 방해

 조류의 사체를 세균이 분해 ⇨ 독성 물질 방출

 

   ⇨ 물속의 산소량 감소 ⇨ 수중 생물 떼죽음

* 생물 농축

공장 폐수 속에 들어 있는 수은(Hg), 카드뮴(Cd) 같은 중금속과 DDT와 같은 농약은 물속이나 생물체 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생물체 밖으로 쉽게 배설되지도 않아 일단 생물체 내로 유입되면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된다. 이들 오염 물질은 먹이 연쇄를 따라 상위 영양 단계 생물로 옮겨가면서 점차 더 많이 축적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생물 농축이라고 한다. 생물 농축의 결과 최종 소비자에 이르면 매우 많은 양이 체내에 축적되어 큰 피해를 입게 된다.

ⓔ 수질 오염의 방지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생활 하수나 폐수를 정화한 후 방류하여야 하며, 가축의 분뇨 등은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한다. 또한, 가정에서 물과 합성 세제의 사용을 줄이고 폐식용유 등을 분리하여 재활용하며, 자정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갯벌, 하천 둔치 등을 보존해야 한다.


③ 토양 오염

ⓐ 토양 오염 물질

주로 화학 비료와 농약의 지나친 사용 및 쓰레기 매립 등에 의해 중금속이나 유해 물질이 장기간 쌓여 발생한다.


ⓑ 토양 오염의 방지

화학 비료 대신 퇴비와 같은 유기 비료의 사용을 늘리고, 잔류성이 강한 농약 대신 천적이나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한다. 또한, 생활 쓰레기를 철저하게 분리수거하고, 산업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안전하게 처리한다.


④ 기타 오염

ⓐ 방사능 오염

방사성 낙진이나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폐기물에 의해 일어난다. 많은 양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암이 발생하고, 돌연 변이가 일어나 다음 세대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 소음

소음은 교통수단이나 공장에서 주로 발생하며, 쾌적한 생활을 방해한다. 소음에 반복하여 노출되면 난청이 되거나 귀를 먹게 되고, 심하면 순환계나 소화기계의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