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② 1-7. 세포의 구조와 특징 (소포체, 리보솜, 골지체)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 ER)
단백질 합성 및 지방질 대사와 물질 수송 등의 기능을 가지고 그물눈처럼 이어진 주머니 모양의 세포질 속의 작은 기관이다. 표면에 다수의 리보솜이 여러 개 부착되어 있는 조면 소포체와 이것이 없는 활면 소포체가 있다.
① 납작한 주머니 모양이나 미세한 관 모양의 막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망상 구조물로,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된다.
② 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부가 핵막과 세포막으로 연결되어 물질 수송의 통로 역할을 한다.
③ 종류 : 막 표면에 알갱이 모양의 리보솜이 붙어 있는 조면 소포체와 리보솜이 붙어 있지 않은 활면 소포체가 있다.
ⓐ 조면 소포체 :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이 소포체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세포 내의 다른 곳으로 이동되거나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분비 기능이 왕성한 이자 세포에 많다.
ⓑ 화면 소포체 : 콜레스테롤 등의 지질 합성과 해독 작용 등을 하며, 간세포에 많다.
리보솜 (ribosome)
① 지름이 정도인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막이 없으며 (리보솜 )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② 핵에서 오는 유전 정보에 따라 세포의 생명 활동과 재생 등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한다.
③ 리보솜은 소포체에 붙어서 조면 소포체를 형성하는 것과 세포질에 퍼져 있는 것이 있으며, 퍼져 있는 리보솜은 세포 내에서 이용되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골지체 (Golgi complex)
신경 세포나 소화관 등의 분비선 세포에서 많이 볼 수 있고 분비 물질의 저장에 관계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① 소포체의 일부가 떨어져 나온 것으로,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막이 여러 층으로 포개어진 구조를 하고 있으며 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② 조면 소포체로부터 단백질을 전달받아 변형시킨 다음 막으로 포장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하거나 리보좀에 저장한다.
③ 주로 동물의 침샘이나 젖샘 세포 등 분비 세포에서 많이 관찰된다.
④ 식물 세포의 골지체는 틱티오솜이라고 하며, 식물 세포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와 펙틴 등을 합성하여 분비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