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② 6-3. 체세포분열 DNA량 변화, 핵분열, 세포질분열
체세포 분열
몸을 구성하는 세포가 분열하여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체세포 분열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생물은 생장을 하고 손상된 부위를 재생한다. 체세포 분열은 먼저 핵이 분열하고 그 다음에 세포질이 분열하는 연속적인 과정이지만, 관찰되는 염색체의 상태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한다.
① 핵분열
ⓐ 전기 : 핵 속의 염색사가 응축되어 2개의 염색분체가 연결된 모양의 염색체가 나타나며, 핵막과 인이 사라진다. 양극에서 방추사가 빠르게 형성되기 시작한다.
-방추사의 형성 : 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의 이동에 관여하는 미세소관을 방추사라고 하며, 세포에 따라 생성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중기 : 염색체가 세포 중앙의 적도판에 배열되고, 방추사가 동원체에 연결된다. 중기에는 염색체가 최대로 응축되어 관찰하기에 알맞다.
ⓒ 후기 : 염색체를 이루고 있던 두 염색 분체가 각각 독립된 염색체로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다.
ⓓ 말기 : 양극에 도달한 염색체들이 풀려 염색사가 되고, 방추사가 사라진다. 핵막과 인이 다시 나타나며 2개의 딸핵이 완성된다.
② 세포질 분열 : 세포질이 나누어지는 과정으로, 핵분열 말기에 시작된다.
ⓐ 동물 세포 : 적도판 부근에서 세포막이 안쪽으로 함입되어 들어가 세포질이 분리되어 2개씩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 식물 세포 : 세포의 중앙에 세포관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깥쪽으로 성장하여 세포질을 분리하면서 2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③ 체세포 분열에서량의 변화 : 체세포 분열을 통해 만들어진 두 딸세포는 유전 정보나
의 양, 염색체의 수 등이 모세포와 같다. 이것은 간기의
를 비롯하여 세포질에 들어 있는 대부분의 물질들이 두 배로 복제되었기 때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