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②

생명과학 ② 6-4. 생식세포분열, 감수분열, 이형분열, 동형분열

by 컨설팅 매니저 2016. 10. 3.
반응형

생명과학 ② 6-4. 생식세포분열, 감수분열, 이형분열, 동형분열

생식세포 분열 (감수 분열)

생식 세포 분열은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 세포가 만들어 질 때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다. 연속적으로 2회의 분열을 통해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며, 분열 중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감수 분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생식세포 분열은 제1분열과 제2분열의 두 단계로 구분된다.

① 제1분열 (이형분열) : 분열 후 염색체의 수와 량이 각각 반으로 줄어든다.

  ⓐ 간기 : 기의가 복제되고, 각 염색체가 2개의 염색 분체로 복제된다.

  ⓑ 전기 : 2개의 염색분체로 구성된 상동 염색체가 접합하여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접합 중에 교차가 일어나 염색 분체의 일부가 교환되기도 한다.

  ⓒ 중기 : 2가 염색체가 적도판에 배열되고, 방추사가 동원체에 연결된다.

  ⓓ 후기 :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다.

  ⓔ 말기 : 핵막이 생기고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면서 2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모세포의 절반이 된다.

② 제2분열 (동형분열) : 대부분의 생물들은 제1분열이 끝날 후 간기를 거치지 않고 제2분열로 들어간다. 따라서와 염색체의 복제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분열 후

   염색체 수가 감소하지 않는다.

  ⓐ 전기, 간기 : 제2분열에서는 짧은 전기를 지나 염색체들이 적도판에 배열되는 중기로 들어간다.

  ⓑ 후기 : 염색 분체의 동원체가 분리되어 각 염색 분체들이 양극으로 이동한다.

  ⓒ 말기 : 양극에 핵이 만들어지고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서 4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③ 생식세포 분열에서량의 변화 : 제1분열과 제2분열 사이에는 간기가 없어복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생식 세포 분열에서 복제는 제1분열이 시작되기 전에 1회만 일어난다. 연속된 2회의 분열을 통해가 딸세포에게 나누어지므로 감수 분열이 모두 끝나면량은 분열 전의 세포에 비해로 감소하게 된다.

 

④ 생식 세포 분열의 의의

  ⓐ 제1분열 전기의 교차와 제1분열 중기의 염색체의 배열 방식에 따라 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된다.

  ⓑ 생식 세포 분열 후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세대를 거듭하여도 각 종의 염색체 수가 보존된다.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비교]

다음은 체세포와 생식 세포의 분열 과정을 비교한 것이다.

①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모두 염색체는 분열 시작 전에 1회 복제된다.

② 체세포 분열은 1회 분열로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지만, 생식세포 분열은 연속적인 2회 분열로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 진다.

③ 체세포 분열에서는 상동 염색체가 접합하지 않지만, 생식세포 분열에서는 접합한다.

결론 : 체세포 분열을 통해서는 모세포와 동일한 딸세포가 만들어지지만, 생식 세포 분열을 통해서는 모 세포에 비해 유전 물질이 반으로 감소한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