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5-3. 배설 - 오줌의 생성(재흡수)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② 재흡수
원뇨가 세뇨관을 지나는 동안 여과된 물질 중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인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물 등은 세뇨관을 둘러싼 모세 혈관으로 다시 흡수되는데, 이를 ‘재흡수’라고 한다.
ⓐ 재흡수율
재흡수 시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100%, 물은 99% 정도, 무기 염류는 거의 대부분이 재흡수되며, 요소는 50% 정도가 재흡수된다.
ⓑ 재흡수 방법
보통 포도당과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은 능동 수송에 의해, 물은 삼투 현상에 의해, 그리고 요소 등의 노폐물은 확산에 의해 재흡수된다.
- 능동 수송 :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
- 삼투 현상 : 물
- 확산 : 요소, 노폐물
-
ⓒ 재흡수의 조절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는 무기 염류의 재흡수를 조절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는데, 혈압이 낮아지면 무기질 코프티코이드의 분비가 증가하여 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
)의 재흡수가 촉진되고, 이는 혈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물의 재흡수도 증가하여 혈관이 받는 압력이 증가하여 혈압을 높이게 된다.
물의 재흡수는 시상하부에서 만들어져 뇌하수체 후엽에서 저장,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ADH : 바소프레신)에 의해 조절되는데, 항이뇨호르몬은 집합관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오줌의 양을 줄인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無機質-, mineralocorticoid) :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분 및 이온질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신장에서의 과
을 재흡수하는 작용을 촉진시킨다. 또한, 땀샘 ·침샘 ·장관(腸管)으로부터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작용 외에
의 배출을 촉진한다. 이 작용은 히드로코르티손이 가장 약하고, 알도스테론이 가장 강하다.
혈압 | 낮음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알도스테론) | 증가 | 촉진 | 혈액 삼투압 | 증가 | 물의 재흡수 | 증가 | 혈압 증가 | |
⇨ | ⇨ | ⇨ | ⇨ | ⇨ | ||||||
⇦ | ⇦ | ⇦ | ⇦ | ⇦ | 혈압 감소 | |||||
높음 | 감소 | 억제 | 감소 | 감소 |
체내 수분량 | 부족 | 항이뇨호르몬 분비 (ADH) | 증가 | 수분의 재흡수 | 증가 | 오줌량 감소(진한 오줌 배출) 체내 수분량 증가 |
⇨ | ⇨ | ⇨ | ||||
⇨ | ⇨ | ⇨ | 오줌량 증가(묽은 오줌 배출) 체내 수분량 감소 | |||
과다 | 감소 | 감소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