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입시 전문 포털265

명과학 ① 10-13. 생명과학, 조직 배양, 조직배양, 염색체 돌연변이, 배아복제 생명과학 ① 10-13.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조직 배양 ◈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 조직 배양 생물체의 세포나 조직 일부를 떼어 내어 적당한 양분을 공급하면서 배양하여 세포나 조직을 증식시키거나, 기관을 분화시켜 완전한 개체를 만드는 기술이다. 하나의 개체로부터 같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어 품질은 좋지만 번식력이 약한 개체를 번식시키는 데 쓰이거나, 유전자 조작 등을 통해 만들어진 특정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할 때 유용하다. 또, 인공 씨감자의 생산과 병의 진단에도 이용된다. ⓔ 염색체 돌연 변이 염색체 돌연 변이를 유발하여 염색체의 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형질을 얻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3배체(3n)의 개체를 만들면 생식 능력이 없어 정상보다 크기가 크고 병에 대한 저..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12. 생명과학, 세포 융합, 핵이식, 핵치환 생명과학 ① 10-12.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세포 융합 ◈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 세포 융합 서로 다른 두 가지 세포를 융합시켜 두 세포의 특징을 모두 갖는 새로운 세포나 생물을 만드는 기술이다. 포마토(감자 세포와 토마토 세포의 융합), 단일 클론 항체(B 림프구와 암세포의 융합)등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 핵이식(핵치환) 핵을 제거한 난자에 어떤 생물의 체세포에서 채취한 핵을 이식하여 발생시킴으로써 핵을 제공한 생물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만드는 기술이다. 우수한 형질을 가진 동물의 번식,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의 보존에 쓰인다. 복제 양 ‘돌리’, 복제 개구리 등의 복제 동물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11. 생명과학, 유전자 조작 기술,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주입술 생명과학 ① 10-11.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유전자 조작 기술 ◈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3. 현대 생물학과 인간의 미래 ① 생명 공학 기술 생명 공학은 생명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여 인간 생활에 활용하려는 응용과학의 한 분야이다. 생명 공학의 핵심적인 내용은 유전자를 다루는 기술에 있다. ⓐ 유전자 조작 기술 * 유전자 재조합 한 생물의 유용한 유전자를 잘라서 다른 생물의 DNA에 끼워 넣어 유전자를 복제하거나 형질을 발현시켜 유용한 물질을 합성하게 하는 기술이다. 인슐린, 생장 호르몬, 항바이러스제인 인터페론의 대량 생산, 유전자 재조합 생물체(GMO)의 생산, 유전자 치료 등에 이용된다.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와 대장균의 플라스미드를 동일한 제한 효소로 자른다. ⇩ 인슐린 유..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10.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생명과학 ① 10-10.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1. 생명관의 변천과 생물학의 발달 ① 그리스 시대 생물을 학문의 대상으로 관찰하고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에는 생명은 초자연적인 생명력 또는 생명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고 하는 생기론적 생명관을 받아들였다. ② 로마시대 토목, 건축 등과 같은 실용적인 학문 분야에는 관심이 있었으나 자연에 대한 깊은 사고와 비판 정신이 결여되어 있었고, 과학이 발전하지 못했다. ③ 중세 생기론이 창조론과 결합하여 생명 현상을 신에 의해 창조된 초자연적인 현상이며 신비로운 것이라 여겼다. 관찰되거나 실증되지 않은 것에 대한 맹목적 믿음이 우선시되어 과학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④ 근대 이후 생명 현상을 물리 화학적인 연구 방..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9.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연 보존 생명과학 ① 10-9.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연 보존 ◈ 인간과 생태계 4. 자연 보존 근본적으로 인간도 자연 생태계의 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필요한 자원을 끊임없이 자연으로부터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인간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고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 ① 삼림 보존 삼림은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빗물을 보존하여 가뭄과 홍수를 예방하며, 야생 동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사람들이 쾌적하게 살아가기 위한 장소가 되고 있다. 가장 무성한 삼림이 형성되어 있는 열대 우림에는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는 생물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대 우림이 과도한 벌목과 개발에 의해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삼림을 ..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