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

생명과학 ① 8-12. 생식과 발생

by 컨설팅 매니저 2016. 3. 12.
반응형

생명과학 ① 8-12. 생식과 발생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B

1. 태아의 발생

⑤ 임신 기간

사람의 임신 기간은 수정일 부터 266일, 약 9개월이다. 임신 기간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수정~임신 3개월(8주)

수정과 착상 및 태반의 형성이 일어나고 태아의 주요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급속한 세포 분열과 분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 동안 배는 방사선과 약물 및 모체에 감염된 바이러스 등에 의해 기형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

착상 직후부터 형성된 태반에서 HCG(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가 분비되어 황체가 퇴화하지 않고 계속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 상태가 유지된다. 임신 8주의 배는 3cm 정도이고 몸무게는 10g이 채 되지 않는다.


ⓑ 임신 4~6개월

태아는 급속히 성장하여 몸무게는 600g 정도가 된다. 태아의 팔과 다리가 길어지고 손가락과 발가락, 얼굴의 모습이 잘 갖추어진다. 이 시기는 초기에 태동이 느껴지기 시작하고, 임신 6개월에 이르면 태아는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빨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에는 태반에 의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여 임신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HCG의 분비가 감소하여 결국 황체가 퇴화한다.


ⓒ 임신 7~9개월

이 기간 동안 태아의 생장이 매우 빨라져서 내장 기관들이 성숙하여 소화관이 기능하기 시작하고 간은 글리코겐을 저장하며, 신장은 오줌을 만들고 뇌는 수면 상태와 깨어 있는 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 시기에 태아는 보호받고 있던 자궁 밖으로 나가서도 생존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며, 임신의 마지막 시기에 태아의 몸무게는 3.5kg에 이르게 된다.


 


⑥ 임신 기간 동안의 호르몬의 변화

ⓐ 임신 초기

배가 자궁 내벽에 착상하면 태반이 형성되어 태반으로부터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HCG)이 분비되어 난소 속의 황체가 퇴화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황체에서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을 계속 분비하여 자궁 내벽을 두껍게 하여 임신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여포의 성숙과 배란을 억제한다.

ⓑ 임신 3개월 이후

임신 3개월째부터 황체는 퇴화하고 HCG의 분비량은 줄어들지만, 태반 스스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 상태가 지속된다.

ⓒ 임신 후기

분만 시기가 가까워지면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증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