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5-2. 배설 - 오줌의 생성(여과)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신장’은 오줌의 생성을 통해 노폐물과 여분의 수분 및 염분(무기 염류)등을 제거한다. 또, 이를 통해 혈액 내 각종 이온의 농도, pH, 혈압 등을 조절한다. 한편, 신장은 오줌을 생성하는 기능 이외에 조혈 호르몬(피를 만드는 호르몬)을 포함한 몇몇 호르몬을 합성하고,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소장에서 칼슘이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기능도 한다.
- 오줌의 생성으로 노폐물·여분의 수분·염분 제거
- 혈액 내 이온의 농도, pH, 혈압 조절
- 호르몬 합성, 비타민 D 합성(뼈를 크게 하는 비타민), 소장에서 칼슘 흡수
신장에서 오줌은 신단위인 네프론에서 여과와 재흡수 및 분비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에서 보먼주머니 쪽으로 사구체 틈보다 작은 물질을 여과시켜 원뇨를 만든 다음, 세뇨관 속을 흐르는 원뇨에서 모세 혈관으로 필요한 물질을 재흡수하고, 모세 혈관 내 혈액에서 일부 노폐물을 세뇨관으로 능동적으로 분비함으로써 오줌을 생성하게 된다.
- 여과 : 사구체의 모세혈관에서 보먼주머니로 작은 물질 통과 (원뇨)
- 재흡수 : 원뇨에서 필요한 물질 흡수
- 분비 : 모세혈관에서 노폐물을 세뇨관으로 내보냄
① 여과
혈액이 사구체를 지나는 동안 혈액 성분의 일부가 사구체에서 보먼 주머니로 빠져 나가는데, 이러한 작용을 ‘여과’라고 한다.
ⓐ 여과의 원리
여과는 사구체로 들어가는 혈관이 사구체로부터 나오는 혈관보다 굵어서 사구체 내부의 혈압이 높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 여과 물질
혈구, 단백질, 지방과 같이 분자량이 큰 물질은 여과되지 않으며, 분자량이 작은 물, 무기 염류, 아미노산, 포도당, 요소와 같은 물질들만 여과된다. 이렇게 여과된 액체 성분을
‘원뇨’라 한다.
ⓒ 원뇨
원뇨에는 요소와 같은 노폐물뿐만 아니라 물,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이 들어 있으며, 단백질과 지방이 들어 있지 않다는 점만 제외하면 혈장 성분과 유사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