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① 5-5. 배설 - 오줌의 생성(오줌의 생성 및 배설 경로)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④ 오줌의 생성 및 배설 경로
신장의 네프론에서 여과, 재흡수 및 분비의 과정을 거쳐 혈액 중의 노폐물과 여분의 무기 염류만이 오줌의 성분으로 농축된다.
네프론에서 생성된 오줌은 집합관으로 모이고, 신우를 거쳐 수뇨관을 지나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된다.
# 세뇨관
사람의 신장은 피질, 수질, 신우로 구성되어 있고 오줌은 말피기소체(보먼주머니-사구체) → 세뇨관 → 신우 → 수뇨관 → 방광 의 순서로 이동하며 생성된다.
신장에서 말피기소체(보먼주머니와 사구체)를 통해 원뇨가 여과된 후에 세뇨관을 통해 재흡수가 일어나는데 이 세뇨관이 근위세뇨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헨레 고리(loop of Henle), 원위세뇨관(distal convoluted tubule)의 세부분으로 되어있다.
첫 번째 부분인 근위세뇨관은 꼬불꼬불하게 되어있고 삼투압의 차이로 물이 원뇨로부터 혈액으로 재흡수되고, 나트륨, 포도당, 아미노산들도 능동 수송되어 재흡수된다.
두 번째 부분인 헨레 고리는 U자 모양으로 하행지와 상행지가 있고 신장의 수질에 해당하고 대부분의 물과 염기를 재흡수한다.
마지막 부분인 원위세뇨관에서는 근위세뇨관과 마찬가지로 나트륨 이온과 염소이온이 재흡수된다.
# 여과, 재흡수, 분비
다음은 신장에서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여과, 재흡수, 분비와 관련한 네프론에서의 물질이동의 몇 가지 유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질 | 여과, 재흡수, 분비의 정도 |
요소 | 여과되지만 일부가 재흡수됨 |
포도당 | 여과되지만 100% 재흡수됨 |
이눌린 | 여과되지만 재흡수와 분비가 되지 않음 |
크레아틴 | 여과되지만 재흡수되지 않고 분비됨 |
㉠ A는 보먼주머니로 여과된 물질이 재흡수 없이 세뇨관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보아
이눌린이다.
㉡ B는 보먼주머니로 여과된 물질이 일부는 재흡수되고 나머지는 세뇨관을 통과하여
오줌으로 배설되는 것으로 보아 요소이다.
㉢ C는 여과된 물질이 전부 재흡수되므로 포도당이다.
㉣ D는 사구체를 지난 혈액에서 세뇨관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보아 크레아틴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