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10-10.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생명과학 ① 10-10.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 생물학과 인간의 생활 1. 생명관의 변천과 생물학의 발달 ① 그리스 시대 생물을 학문의 대상으로 관찰하고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에는 생명은 초자연적인 생명력 또는 생명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고 하는 생기론적 생명관을 받아들였다. ② 로마시대 토목, 건축 등과 같은 실용적인 학문 분야에는 관심이 있었으나 자연에 대한 깊은 사고와 비판 정신이 결여되어 있었고, 과학이 발전하지 못했다. ③ 중세 생기론이 창조론과 결합하여 생명 현상을 신에 의해 창조된 초자연적인 현상이며 신비로운 것이라 여겼다. 관찰되거나 실증되지 않은 것에 대한 맹목적 믿음이 우선시되어 과학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④ 근대 이후 생명 현상을 물리 화학적인 연구 방..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9.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연 보존 생명과학 ① 10-9.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연 보존 ◈ 인간과 생태계 4. 자연 보존 근본적으로 인간도 자연 생태계의 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필요한 자원을 끊임없이 자연으로부터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인간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고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 ① 삼림 보존 삼림은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빗물을 보존하여 가뭄과 홍수를 예방하며, 야생 동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사람들이 쾌적하게 살아가기 위한 장소가 되고 있다. 가장 무성한 삼림이 형성되어 있는 열대 우림에는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는 생물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대 우림이 과도한 벌목과 개발에 의해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삼림을 ..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8.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현상 생명과학 ① 10-8.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현상 ◈ 인간과 생태계 ⓓ 수질 오염 현상 * 부영양화 생활 하수나 가축의 분뇨 등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물속에 질산염이나 인산염이 증가하는 것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부영양화 된 하천이나 호수에서는 남조류와 녹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여 물이 녹색으로 보이는 ‘녹조 현상’이 나타난다. 또, 오염 물질이 다량 바다로 흘러들어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면 물이 붉게 보이는 ‘적조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조류의 지나친 증식은 햇빛이 물속으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생 식물의 생장을 방해한다. 또한, 조류의 사체가 세균에 의해 분해될 때 독성 물질이 나오고 물속에 목아 있는 산소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수생 생물이 떼죽음을 당하게 된다. ㉠ 하..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7.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정 작용 생명과학 ① 10-7.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자정 작용 ◈ 인간과 생태계 ⓒ 자정 작용 (자연 스스로 물을 깨끗하게 정화함) 강이나 호수에 유기물이 흘러 들어가면 물속의 미생물이 무기물을 분해하여 물이 다시 깨끗해지는데, 이런 현상을 자정 작용이라고 한다. 물에 유기물이 유입되면 BOD가 증가하며 유기물을 분해하는 호기성 세균의 수도 증가한다. 호기성 세균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물속의 산소를 소모하므로 DO는 감소하고, 유기물의 분해 산물로서 질산염과 인산염 같은 영양 염류의 양이 증가한다. 영양 염류의 양이 증가하면 이를 이용하여 살아가는 식물성 플랑크톤 같은 조류가 증가하고 수중 식물의 생장이 활발해지면서 광합성 작용도 활발해진다. 광합성 작용으로 산소 발생량이 증가하고 물이 흘러가면서 공기 중의.. 2016. 3. 12.
생명과학 ① 10-6.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생명과학 ① 10-6.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수질 오염 ◈ 인간과 생태계 ② 수질 오염 ⓐ 수질 오염 물질 생활 하수, 산업 폐수, 농·축산 폐수, 비료, 농약 등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유기물이나 화학 물질 및 중금속에 의해 일어난다. 유기물 과다한 양의 유기물이 유입되면 이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수생 동물의 호흡 장애를 일으킨다. 영양 염류 (N, P) 질산염, 인산염과 같은 영양 염류의 양이 증가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급격한 증식으로 적조 현상이 나타난다. 중금속 카드뮴,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은 먹이 연쇄를 통해 생물 농축되어 최종 소비자인 인간에게 큰 피해를 준다. 화학 물질 (살충제, 합성세제 등) 살충제, 농약 등과..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