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9-14. 생식과 발생, 유전병의 진단 생명과학 ① 9-14. 생식과 발생, 유전병의 진단 ◈ 돌연 변이와 사람의 유전병 2. 유전병의 진단 최근에는 생명 공학적 방법으로 유전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유전병 치료법은 개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검사를 통해 출산 전에 태아에게 유전병이 있는지는 알아낼 수 있다. 산전 진단법으로 양수 검사, 융모막 검사, 정밀 초음파 검사 등이 있다. ① 양수 검사 긴 주사 바늘로 양수 일부를 채취하여 생화학적 검사를 하거나, 양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태아의 세포를 분리하여 조직 배양한 후 핵형 분석 등의 방법으로 유전적 이상을 알아낸다. 보통 임신 14~16주에 실시하며, 태아의 염색체 검사를 통한 유전병 여부와 태아의 신경관 결손 여부나 선천성 대사 이상 또는 폐.. 2016. 3. 12.
생명과학 ① 9-13. 생식과 발생, 염색체 돌연 변이 생명과학 ① 9-13. 생식과 발생, 염색체 돌연 변이 ◈ 돌연 변이와 사람의 유전병 ③ 염색체 돌연 변이 유전자는 염색체에 존재하기 때문에 염색체의 구조나 수에 이상이 생기면 돌연 변이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염색체 돌연 변이라고 한다. ⓐ 염색체 구조의 이상 염색체 수는 정상이지만 염색체에 부분적으로 구조적인 변화가 생겨 유전적 이상을 일으키는 경우로, 결실, 중복, 역위, 전좌 등이 있다. 결실 염색체의 일부가 없어진 경우 중복 상동염색체에 동일한 부분이 삽입되어 같은 부분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경우 역위 염색체의 일부가 끊어진 다음 거꾸로 붙는 경우 전좌 염색체의 일부가 끊어져 상동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에 가서 붙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색체의 구조 변화는 염색체의 절단에 의해 일어나므로 .. 2016. 3. 12.
생명과학 ① 9-12. 생식과 발생, 돌연 변이 생명과학 ① 9-12. 생식과 발생, 돌연 변이 ◈ 돌연 변이와 사람의 유전병 1. 돌연 변이 ① 돌연 변이와 유전병 ⓐ 돌연 변이 양친에게는 없던 형질이 새로 나타나 자손에게 대대로 유전되는 현상을 돌연 변이라고 한다. 돌연 변이는 유전자나 유전자가 존재하는 염색체의 구조나 수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 돌이 변이원 X 선, 자외선, 방사선, 중성자, 화학 약품, 스트레스, 식생활, 환경 오염 등이 있다. ⓒ 유전병 유전병은 유전자나 염색체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자손에게 유전되는 몸의 형태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병을 의미한다. ② 유전자 돌연 변이 ⓐ 유전자 돌연 변이 유전 물질의 본체인 DNA의 유전자 염기 서열에 이상이 생긴 돌연 변이를 유전자 돌연 변이라고 한다. ⓑ 특징 .. 2016. 3. 12.
생명과학 ① 9-11. 생식과 발생, 반성 유전 생명과학 ① 9-11. 생식과 발생, 반성 유전 ◈ 사람의 유전 ② 반성 유전 어떤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X 염색체 위’에 있으면 남녀에 따라 유전 형질을 나타나는 빈도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유전을 ‘반성 유전’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사람의 색맹, 혈우병 등이 있다. ⓐ 색맹 유전 시세포의 이상으로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상태를 색맹이라 한다. * 색맹 유전자 X 염색체 위에 있으며, 정상에 대하여 열성이다. 정상 유전자를 X, 색맹 유전자를 X'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우성-X > X'-열성) * 색맹의 표현 남자는 X 염색체를 한 개만 가지고, Y 염색체에 색맹 유전자에 대한 대립 유전자가 없다. 따라서 X 염색체를 2를 가지고, 색맹 유전자가 정상 유전자에 대해 열성이므로 색맹 유전자.. 2016. 3. 12.
생명과학 ① 9-10. 생식과 발생, 성 염색체에 의한 유전 생명과학 ① 9-10. 생식과 발생, 성 염색체에 의한 유전 ◈ 사람의 유전 3. 성 염색체에 의한 유전 ① 사람의 성 결정 ⓐ 성 염색체 X 염색체와 이보다 크기가 작은 Y 염색체 두 종류가 있다. ⓑ 성 결정 방식 남성은 성 염색체 X와 Y를 가지며(44+XY), 여성은 X 염색체를 2개 가진다(44+XX). 감수 분열 시 한 쌍의 성 염색체는 다른 상염색체 쌍과 마찬가지로 하나씩 분리되어 서로 다른 생식 세포로 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남성이 만드는 정자 중 반은 X 염색체를 가지고(22+X), 나머지 반은 Y 염색체를 가진다(22+Y). 반면에 여성이 만드는 난자는 모두 X 염색체를 가진다(22+X). 따라서 사람의 성은 난자가 어떤 성 염색체를 가진 정자와 수정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X 염색체..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