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②54

생명과학 ② 8-3. 단백질 합성 ▎생명과학 ② 8-3. 단백질 합성 1) 단백질의 합성 기구 단백질은 리보솜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합성되며, 이 과정에서의 유전 암호는 리보솜에서에 의해 해독된다. ① ⓐ에는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에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20종류의 아미노산이 서로 다른에 의해 리보솜으로 운반될 수 있다. ⓑ에는 아미노산이 결합하는 부분과의 코돈을 인식하여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코돈 부분이 있다. 따라서는의 코돈에 맞는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할 수 있다. ⓒ 안티코돈(anticodon) :의 코돈과 상보적으로 결합하는의 3염기 서열을 코돈이라고 한다. ② 리보솜 ⓐ 리보솜은 대단위체와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각 단위체는 와 수십 종류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 리보솜의 대단위체는 가 결합할 수 있는자리와자리가 있.. 2016. 10. 16.
생명과학 ② 8-2. 유전정보 전달, 유전정보 전사, 유전 정보 번역 ▎생명과학 ② 8-2. 유전정보 전달, 유전정보 전사, 유전 정보 번역 1)유전 정보의 저장과 전달 ① 유전 정보의 저장 ⓐ의 유전 정보 •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닌(C) 4개의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염기들이 어떻게 배열되는가에 따라 유전 정보가 달라진다. • 염기 서열에 의한 유전 정보는 적절한 방법에 따라 단백질의 아미노산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 유전 정보의 암호 •의 염기는 4개인데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은 20종류이므로, 의 유전암호는 20개 이상이어야 한다. • 이때 3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유전 암호를 트리플렛 코드라고 한다. • 3개의 염기가 배열되어 만들어질 수 있는 유전 암호는 모두 64개이므로, 모든 아미노산의 종류에 대응하는 유전 암호를 만들 수 있.. 2016. 10. 13.
생명과학 ② 8-1. 유전자와 형질 발현, 유전자 단백질, 1유전자 1효소설 ▎생명과학 ② 8-1. 유전자와 형질 발현, 유전자 단백질, 1유전자 1효소설 1. 유전자와 단백질 1) 형질 발현과 유전자 : 유전자로부터 표현형이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을 형질 발현이라고 하며,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효소)이 형질 결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1941년비들과 테이텀의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2) 비들과 테이텀의 영양 요구주 실험 ① 실험재료 : 비들과 테이텀은 붉은 빵 곰팡이의 야생종을 돌연 변이시켜 얻은 영양 요구주를 연구하여 유전자와 형질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 야생종 : 최소 배지에서도 필요한 물질을 스스로 합성하여 잘 자란다. ⓑ 돌연변이종 : 야생조에 X선을 쪼여 얻은 돌연 변이로, 아르기닌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특정 영양소를 공급하지 않으면 자랄 수 없는 영양 요.. 2016. 10. 10.
생명과학 ② 7-5.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 ▎생명과학 ② 7-5.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 1)의 자기 복제 :의 자기 복제 방식은 1958년 질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와 대장균을 이용한 메셀슨과 스탈의 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① 반보존적 복제 실험 ⓐ 메셀슨과 스탈은(무거운 질소)으로 표지된을 포함하는 배지에 대장균을 배양하여 대장균의를 모두으로 표지하였다. 그 후 이들을 가벼운 질소 ()가 포함된 배지로 옮겨 1세대와 2세대를 얻었다. ⓑ 이렇게 배양한 대장균의 를 추출한 후 초원심 분리를 통해 의 밀도를 조사 하였더니 다음 그림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 1세대에서 얻은 가 원심관의 가운데에 모인 것은 1회 분열하였을 때 가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가 으로 표지된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 2세.. 2016. 10. 5.
생명과학 ② 7-4. DNA입체구조, 이중나선, 핵산과 염기조성 ▎생명과학 ② 7-4. DNA입체구조, 이중나선, 핵산과 염기조성 1)의 입체 구조 ①는 두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이 한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이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② 인산과 당은 이중 나선의 바깥쪽에 골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염기는 당에 결합하여 안쪽을 향해 배열되어 있다. ③ 안쪽을 향해 있는 두 가닥의 염기는 서로 수소 결합을 이루고 있다.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은 A와 T, G와 C 사이에서만 일어나는데, 이를 상보적 결합이라고 한다. ④ A와 T 사이에는 이중 수소 결합이, G와 C 사이에는 삼중 수소 결합이 일어난다. 분자 내에서 약한 양전하를 띠는 수소와 음전하를 띠는 산소나 질소가 전기적으로 약한 인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수소 결합이라고 한다. 수소 결합은 지.. 2016.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