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②54

생명과학 ② 7-3. 아데닌, 시토닌, 티민, 구아닌, 핵산 ▎생명과학 ② 7-3. 아데닌, 시토닌, 티민, 구아닌, 핵산 1. 아데닌 (adenine) 화학식 아미노퓨린의 구조를 가진다. 생물에서 얻어지는 염기성 물질로, 생체 내에서는 핵산 · ADP · ATP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유리된 형태로 존재하는 일은 거의 없으나 드물게 차(茶) 잎에서 발견된다. 또, FAD · FMN · NAD · NADP · Co A 등 생체 내의 중요한 반응에 관계된다. 찬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양쪽성 물질이므로 산에도 염기에도 잘 녹는다. 또, 에테르와 클로로포름에는 녹지 않는다. 염산을 가하여 180∼200℃로 가열하면 분해되며, 아질산을 작용시키면 히포크산틴이 되고, 산화시키면 요소를 생성한다. 산 및 염기를 작용시키면 염(鹽)을 생성하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아데.. 2016. 10. 5.
생명과학 ② 7-2. DNA와 RNA 구조와 복제 ▎생명과학 ② 7-2. DNA와 RNA 구조와 복제 2.의 구조와 복제 :가 유전 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진 후 과학자들의 관심은 유전 물질인의 구조에 모아졌다.의 분자 구조는 1953년 왓슨과 크릭에 의해 밝혀졌다. 1) 핵산 ① 종류 : 핵산에는와가 있으며, 모두 뉴클레오티드라는 기본 단위가 포개어 합쳐져(중합)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이다. ② 구성 : 뉴클레오티드는 인산, 당,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산과 염기는 각각 당에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인산 :이며,와에 모두 존재한다. ⓑ 당 : 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5탄당으로,를 구성하는 당은 디옥시리보오스이며, 를 구성하는 당은 리보오스이다. 디옥시리보오스는 리보오스에 비해 산소 원자 한 개가 부족한 구조를 하고 있다. ⓒ 염기 :를 구성하.. 2016. 10. 5.
생명과학 ② 7-1. 유전 물질을 밝히는 실험적 증거 ▎생명과학 ② 7-1. 유전 물질을 밝히는 실험적 증거 20세기 초에 과학자들은 유전자가 염색체에 존재하며, 염색체가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염색체를 구성하는 물질 중 어느 것이 유전 물질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가 유전 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1) 형질 전환 실험 :가 유전 물질이라는 사실은 그리피스의 형질 전환 실험과 에이버리의 형질 전환 물질에 대한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① 그리피스의 형질 전환 실험 ⓐ 폐렴 쌍구균에는 병원성항균과 비병원성인형균이 있다.형균은 피막에 싸여 있어 면역 세포의 식균 작용으로 잘 제거되지 않아 병원성을 나타내지만, 돌연 변이주인형균은 피막이 없어 체내에서 잘 제거되어 병원성을 나타내.. 2016. 10. 5.
생명과학 ② 6-1. 염색체, 세포분열, 세포주기, 딸세포 ▎생명과학 ② 6-1. 염색체, 세포분열, 세포주기, 딸세포 1) 세포 주기 (cell cycle) 세포 분열이 활발한 조직의 세포들은 일정한 기간을 두고 세포 분열을 하는데, 세포가 분열을 마친 후 자라서 다시 분열을 마칠 때까지를 세포 주기라고 한다. ① 세포 주기는 세포가 분열하는 기간인 분열기와 분열과 분열 사이의 기간인 간기로 구성된다. ⓐ 간기 : 세포 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나 단백질 합성 등 물질 대사가 활발하게 세포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간기는기,기,기로 구분한다. -기 : 세포 분열 후 가 합성되기 전까지의 기간으로, 단백질이 합성되고 미토콘드리아나 리보솜 등의 세포 내 소기관의 수가 증가하면서 세포가 생장하는 시기이다. G (gab, growth), S (synthesis).. 2016. 10. 3.
생명과학 ② 6-7. 멘델의 유전법칙 ▎생명과학 ② 6-7. 멘델의 유전법칙 1. 우성의 원리 멘델이 P1을 교배하였을 때, 당시의 융합설과는 달리 어떤 변이도 혼합되어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 종자의 식물과 녹색 종자의 식물을 교배시켰을 때 F1은 중간색이 아니라 모두 황색 종자였다. 멘델은 F1 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dominant) 형질이라고 불렀고, 나타나지 않는 형질을 열성(recessive) 형질이라고 불렀다. 멘델은 그 다음에 F1 식물을 자가 수정시켰다. 그리하였더니 F1의 자손(F2 세대) 중 1/4은 녹색이고 3/4은 황색이었다. 열성형질이 다시 나타났던 것이다. 계속적인 실험으로 발견한 중요한 사실로, 두 종류의 황색 완두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원래의 어버이와 같은 순종 완두는 오직 황색 종자만 맺고,.. 2016.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