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②54

생명과학 ② 6-6. 유전자의 교차, 불완전 연관, 교차율 ▎생명과학 ② 6-6. 유전자의 교차, 불완전 연관, 교차율 교차 (불완전 연관 ) ① 한 염색체에 연관된 유전자가 항상 함께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분리되어 행동할 수도 있다. ② 이것은 생식 세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감수 제1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접합할 때 접합한 염색 분체의 일부가 교환되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가지는 염색체가 생성되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교차라고 한다. ③ 교차를 통해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는 생식 세포가 생성되고, 그 결과 다양한 유전 형질을 나타내는 자손이 생성된다. ④ 교차율 ⓐ 연관된 두 유전자 사이에 교차가 일어나는 빈도를 교차율이라고 하며, 전체 생식 세포 중 교차가 일어난 생식 세포의 비율로 교차율을 나타낸다. ⓑ 그러나 실제 세포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검정.. 2016. 10. 3.
생명과학 ② 6-5. 유전자의 연관, 연관군 ▎생명과학 ② 6-5. 유전자의 연관, 연관군 염색체와 유전자의 관계 ① 염색체설 (서턴) : 멘델의 법칙이 재발견된 후 1902년 서턴은 생식 세포의 분열 과정을 관찰하다가 염색체의 행동이 멘델이 주장한 유전 인자의 행동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서턴은 이를 ‘유전자가 염색체에 존재하는 작은 입자이며, 염색체를 통해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염색체설을 주장하였다. - 서턴의 염색체설은 초파리의 흰눈 형질 유전이염색체와 관련 있음을 알아낸 모건의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② 유전자설 (모건) : 1926년 모건은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염색체의 일정한 위치에 존재하며, 대립 유전자들은 상동 염색체의 동일 위치에 존재한다.’는 유전자설을 주장하였다. ③ 모건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2016. 10. 3.
생명과학 ② 6-4. 생식세포분열, 감수분열, 이형분열, 동형분열 ▎생명과학 ② 6-4. 생식세포분열, 감수분열, 이형분열, 동형분열 생식세포 분열 (감수 분열) 생식 세포 분열은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 세포가 만들어 질 때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다. 연속적으로 2회의 분열을 통해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며, 분열 중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감수 분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생식세포 분열은 제1분열과 제2분열의 두 단계로 구분된다. ① 제1분열 (이형분열) : 분열 후 염색체의 수와 량이 각각 반으로 줄어든다. ⓐ 간기 : 기의가 복제되고, 각 염색체가 2개의 염색 분체로 복제된다. ⓑ 전기 : 2개의 염색분체로 구성된 상동 염색체가 접합하여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접합 중에 교차가 일어나 염색 분체의 일부가 교환되기도 한다. ⓒ 중기 : 2가 염색체가 .. 2016. 10. 3.
생명과학 ② 6-3. 체세포분열 DNA량 변화, 핵분열, 세포질분열 ▎생명과학 ② 6-3. 체세포분열 DNA량 변화, 핵분열, 세포질분열 체세포 분열 몸을 구성하는 세포가 분열하여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체세포 분열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생물은 생장을 하고 손상된 부위를 재생한다. 체세포 분열은 먼저 핵이 분열하고 그 다음에 세포질이 분열하는 연속적인 과정이지만, 관찰되는 염색체의 상태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한다. ① 핵분열 ⓐ 전기 : 핵 속의 염색사가 응축되어 2개의 염색분체가 연결된 모양의 염색체가 나타나며, 핵막과 인이 사라진다. 양극에서 방추사가 빠르게 형성되기 시작한다. -방추사의 형성 : 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의 이동에 관여하는 미세소관을 방추사라고 하며, 세포에 따라 생성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중기 : 염색체가 세포 중앙의 .. 2016. 10. 3.
생명과학 ② 6-2. 염색체, 염색분체, 상동염색체, 염색체 종류 ▎생명과학 ② 6-2. 염색체, 염색분체, 상동염색체, 염색체 종류 2) 염색체 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단백질과 함께 실 모양의 염색사를 이루며, 이 염색사가 세포 분열할 때 굵고 짧은 모양으로 응축되어 염색체를 형성한다. ☺ 히스톤 : 보통의 단백질에서 볼 수 있는 아미노산을 대부분 함유하고 있는데, 아르기닌 및 리신이 풍부하므로 염기성을 나타낸다. 분자량은 1만 이상으로 비교적 적지만 조금 복잡한 구조를 가졌고 상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송아지의 흉선이나 새의 적혈구 등에서 얻는 히스톤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 염색체에서는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고 생각되며, 히스톤과로 된 뉴클레오히스톤은 대표적 핵단백질의 하나이다. ① 염색 분체 : 간기에가 복제되면서 염색체도 복제되는데. 이때 모.. 2016.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