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입시 전문 포털265

[영드] 셜록 시즌4, 등장인물 분석 ▎셜록 시즌4, 등장인물 분석 얼마 전에 셜록 시즌4 예고편이 공개되면서 셜록 팬들을 기쁘게 해주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셜록 시즌4를 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조연들의 역할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새 시즌을 보기 전에 시리즈의 전반적인 줄거리를 알고 있다면 큰 도움이 되겠지만 저는 줄거리보다 시리즈에 등장했던 주연급 조연들에 대해 알게 된다면 스토리나 장면을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드라마 셜록에 등장해 매 에피소드 마다 존재감을 각인 시킨 주변 인물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일단 셜록에 빠져서는 안 되는 주인공인 '셜록과 왓슨' 알고 게시죠? 너무 유명해서 그들에 관한 설명을 건너뜁니다. ▎셜록 시즌4, 조연급 등장인물 마크 게이스트 (마이크로프트 홈즈 역, Ma.. 2016. 10. 3.
생명과학 ② 6-1. 염색체, 세포분열, 세포주기, 딸세포 ▎생명과학 ② 6-1. 염색체, 세포분열, 세포주기, 딸세포 1) 세포 주기 (cell cycle) 세포 분열이 활발한 조직의 세포들은 일정한 기간을 두고 세포 분열을 하는데, 세포가 분열을 마친 후 자라서 다시 분열을 마칠 때까지를 세포 주기라고 한다. ① 세포 주기는 세포가 분열하는 기간인 분열기와 분열과 분열 사이의 기간인 간기로 구성된다. ⓐ 간기 : 세포 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나 단백질 합성 등 물질 대사가 활발하게 세포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간기는기,기,기로 구분한다. -기 : 세포 분열 후 가 합성되기 전까지의 기간으로, 단백질이 합성되고 미토콘드리아나 리보솜 등의 세포 내 소기관의 수가 증가하면서 세포가 생장하는 시기이다. G (gab, growth), S (synthesis).. 2016. 10. 3.
생명과학 ② 6-7. 멘델의 유전법칙 ▎생명과학 ② 6-7. 멘델의 유전법칙 1. 우성의 원리 멘델이 P1을 교배하였을 때, 당시의 융합설과는 달리 어떤 변이도 혼합되어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 종자의 식물과 녹색 종자의 식물을 교배시켰을 때 F1은 중간색이 아니라 모두 황색 종자였다. 멘델은 F1 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dominant) 형질이라고 불렀고, 나타나지 않는 형질을 열성(recessive) 형질이라고 불렀다. 멘델은 그 다음에 F1 식물을 자가 수정시켰다. 그리하였더니 F1의 자손(F2 세대) 중 1/4은 녹색이고 3/4은 황색이었다. 열성형질이 다시 나타났던 것이다. 계속적인 실험으로 발견한 중요한 사실로, 두 종류의 황색 완두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원래의 어버이와 같은 순종 완두는 오직 황색 종자만 맺고,.. 2016. 10. 3.
생명과학 ② 6-6. 유전자의 교차, 불완전 연관, 교차율 ▎생명과학 ② 6-6. 유전자의 교차, 불완전 연관, 교차율 교차 (불완전 연관 ) ① 한 염색체에 연관된 유전자가 항상 함께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분리되어 행동할 수도 있다. ② 이것은 생식 세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감수 제1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접합할 때 접합한 염색 분체의 일부가 교환되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가지는 염색체가 생성되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교차라고 한다. ③ 교차를 통해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는 생식 세포가 생성되고, 그 결과 다양한 유전 형질을 나타내는 자손이 생성된다. ④ 교차율 ⓐ 연관된 두 유전자 사이에 교차가 일어나는 빈도를 교차율이라고 하며, 전체 생식 세포 중 교차가 일어난 생식 세포의 비율로 교차율을 나타낸다. ⓑ 그러나 실제 세포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검정.. 2016. 10. 3.
생명과학 ② 6-5. 유전자의 연관, 연관군 ▎생명과학 ② 6-5. 유전자의 연관, 연관군 염색체와 유전자의 관계 ① 염색체설 (서턴) : 멘델의 법칙이 재발견된 후 1902년 서턴은 생식 세포의 분열 과정을 관찰하다가 염색체의 행동이 멘델이 주장한 유전 인자의 행동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서턴은 이를 ‘유전자가 염색체에 존재하는 작은 입자이며, 염색체를 통해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염색체설을 주장하였다. - 서턴의 염색체설은 초파리의 흰눈 형질 유전이염색체와 관련 있음을 알아낸 모건의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② 유전자설 (모건) : 1926년 모건은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염색체의 일정한 위치에 존재하며, 대립 유전자들은 상동 염색체의 동일 위치에 존재한다.’는 유전자설을 주장하였다. ③ 모건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2016.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