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3-6. 순환 - 혈액의 순환 생명과학 ① 3-6. 순환 - 혈액의 순환 & 림프의 순화 ◈ 혈액의 순환 1. #체순환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대동맥으로 밀려나간 혈액은 여러 소동맥을 통해 온몸에 퍼져 있는 조직의 모세 혈관에 이르고, 여기에서 조직 세포와 물질 교환을 하게 된다. 동맥 쪽의 모세 혈관에서는 양분과 산소가 포함된 혈장의 일부가 조직으로 나가고 정맥 쪽의 모세 혈관으로는 조직 세포로부터 노폐물과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조직액이 들어온다. 모세 혈관의 혈액은 다시 정맥과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들어오는데 이와 같은 혈액 순환의 경로를 체순환 또는 대순환이라 한다. ① 혈액의 순환 경로 2. #폐순환 우심실이 수축하면서 밀려나간 혈액은 폐동맥을 지나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모세 혈관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난다. 폐포를.. 2016. 2. 13. 생명과학 ① 3-5. 순환 - 혈관의 구조 생명과학 ① 3-5. 순환 - 혈관의 구조 ◈ 혈관 1. 혈관의 종류 사람의 혈관은 동맥, 정맥, 모세 혈관으로 구성된다. 동맥은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고, 정맥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며, 동맥과 정맥은 모세 혈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① 동맥 동맥은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으로서, 심실의 강한 수축에 의해 밀려 나오는 혈액의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크며 혈류 속도가 빠르다. ② 정맥 정맥은 몸의 각 부분에서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관으로 심방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속을 흐르는 혈액의 압력이 낮아 혈관벽이 동맥보다 얇고 탄성력이 약하다. 또 곳곳에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한 판막이 있으며, 정맥의 주변에 있는 근육이 수축-이완하여 혈.. 2016. 2. 13. 생명과학 ① 3-4. 순환 - 심장의 구조 생명과학 ① 3-4. 순환 - 심장의 구조 ◈ 심장의 구조 1. 심장의 구조 사람의 혈액은 심장, 동맥, 정맥, 모세 혈관으로 이루어진 혈관계를 통해서 순환하는데, 온 몸을 한 바퀴 도는 데 약 1분이 걸리며 그 원동력은 심장의 박동이다. 심장은 보통 하루에 8만~12만 회 박동하면서 8000L의 혈액을 순환시키다. 그리고 심장은 주먹만 한 크기로 2심방 2심실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심방과 심실, 심실과 동맥 사이에 판막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막아 준다. ① 심방 (좌심방, 우심방)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 심실로 넘겨준다. ② 심실 (좌심실, 우심실) 심장 밖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장소로 심방 보다 두꺼운 근육층을 가지고 있고 동맥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좌심실 벽이 두꺼운데 그 이유는.. 2016. 2. 13. 생명과학 ① 3-3. 순환 - 혈액형과 수혈 생명과학 ① 3-3. 순환 - 혈액형과 수혈 ◈ 혈액형과 수혈 1. 사람의 혈액형의 종류 혈액형은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되며 일생 동안 변하지 않는 형질이다. 혈액형의 종류는 우리 몸의 혈액 속에 있는 적혈구의 단백질 성분에 따라서 식 혈액형과 식 혈액형로 나눈다. 이러한 혈액형이 인간 생활에서 중요하게 이용되는 경우는 병원에서 수혈을 받을 때나 법의학적인 친자 소송을 판결할 때이다. 2. 혈구의 응집 반응 서로 다른 혈액을 섞으면 응집되는 형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혈액의 응집 반응이라고 한다. 이것은 적혈구 내의 응집원(항원에 해당)과 혈청 내의 응집소(항체에 해당)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항원-항체 반응이다. 3. ABO식 혈액형 ① 혈액형의 종류 응집원과 응집소의 종류에 따라 형, 형, 형, 형.. 2016. 2. 13. 생명과학 ① 3-2. 순환 - 혈액의 방어 기능 생명과학 ① 3-2. 순환 - 혈액의 방어 기능 ◈ 혈액의 방어 기능 혈액은 혈액의 응고와 식균 작용 및 항체의 생성 등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각종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거나, 이들로부터 자신의 몸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1. 일차 방어 (혈액 응고와 식균 작용) ① 혈액응고 몸에 상처가 나서 출혈이 생기면 상처부위에 혈소판의 작용 등에 의해 혈액 응고가 일어나서 상처를 통해 몸속으로 세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 손상된 혈관의 방어 적혈구와 혈소판이 뭉쳐 파손된 혈관 부위를 막아 준다. ⓑ 손상된 피부의 방어 일련의 효소 반응을 통해 형성된 피브린이 적혈구와 뭉쳐 혈병(혈떡)을 생성하고, 만들어진 혈병에 의해 파손된 피부 부위가 임시로 막히게 된다. - 혈액이 혈관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 2016. 2. 1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