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5-7. 배설 - 신장병과 인공 신장기 생명과학 ① 5-7. 배설 - 신장병과 인공 신장기 ◈ 신장병과 인공 신장기 1. 신장병 ① 신장병의 원인과 증상 ⓐ 원인 신장병은 신장의 특정한 부위에 선천적 결함이 있거나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 심한 충격이나 과다한 출혈이 있을 때 발행하기 쉽다. 또 간염이나 결핵, 당뇨, 동맥 경화를 앓고 있거나 고혈압, 약물을 수년간 복용한 경우에도 발생하기 쉽다. ⓑ 증상 신장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6가지가 있다.- 배뇨 시 통증을 느낀다.- 특히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간다.- 손발이 붓는다.- 혈압이 높다.- 늑골 아래 부위에 통증이 느껴진다.- 소변의 색깔이 검거나 붉다. ② 신장병의 종류 ⓐ 요로 감염 신장에 흔히 발생하는 질병에는 오줌이 배설되는 통로인 신우, 수뇨관, 방광 또는 요도가 감염.. 2016. 2. 14.
생명과학 ① 5-6. 배설 - 땀샘의 구조와 기능 생명과학 ① 5-6. 배설 - 땀샘의 구조와 기능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땀샘의 구조와 기능① 땀샘의 구조 우리 몸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는 그 표면적이 약 1.7이며 그 표면에는 수많은 땀구멍이 나 있다. 땀구멍은 땀샘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땀을 분비하는 땀샘은 피부의 진피층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 끝은 실타래처럼 꼬인 모양을 하고 있고 하나의 긴 관을 내어 피부 표면에 땀구멍을 열고 있다. 그리고 모세 혈관이 땀샘의 주변을 그물처럼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땀샘은 온몸에 200만~400만 개 정도가 분포하고 있다. 땀샘은 피부의 어느 부분에나 분포하지만 특히 손바닥, 발바닥, 콧등, 이마, 겨드랑이 등에 많이 분포한다. ② 땀샘의 기능 땀샘은 노폐물의 배설과 체온 조절의 두 가지 기능을 .. 2016. 2. 14.
생명과학 ① 5-5. 배설 - 오줌의 생성(오줌의 생성 및 배설 경로) 생명과학 ① 5-5. 배설 - 오줌의 생성(오줌의 생성 및 배설 경로)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④ 오줌의 생성 및 배설 경로 신장의 네프론에서 여과, 재흡수 및 분비의 과정을 거쳐 혈액 중의 노폐물과 여분의 무기 염류만이 오줌의 성분으로 농축된다.네프론에서 생성된 오줌은 집합관으로 모이고, 신우를 거쳐 수뇨관을 지나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된다. # 세뇨관사람의 신장은 피질, 수질, 신우로 구성되어 있고 오줌은 말피기소체(보먼주머니-사구체) → 세뇨관 → 신우 → 수뇨관 → 방광 의 순서로 이동하며 생성된다.신장에서 말피기소체(보먼주머니와 사구체)를 통해 원뇨가 여과된 후에 세뇨관을 통해 재흡수가 일어나는데 이 세뇨관이 근위세뇨관(proximal con.. 2016. 2. 14.
생명과학 ① 5-4. 배설 - 오줌의 생성(분비) 생명과학 ① 5-4. 배설 - 오줌의 생성(분비)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③ 분비사구체에서 여과를 거쳤다고 하더라도 아직 혈액 내에는 요산, 크레아틴과 같은 노폐물과 불필요한 무기 염류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물질은 사구체에서 나온 혈액이 모세 혈관을 흐르는 동안 다시 세뇨관 쪽으로 능동적으로 내보내지는데, 이 과정을 ‘분비’라고 한다. # 항이뇨호르몬(ADH)다음의 첫 번째 그래프는 1L의 물과 생리식염수를 각각 따로 마신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오줌의 생성 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두 번째 그래프는 평상시와 목마를 때의 혈중 ADH 농도와 혈장 삼투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세 번째 그래프는 혈중 ADH의 농도 증감에 따른 재흡수되는 물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네 번째 그래프.. 2016. 2. 14.
생명과학 ① 5-3. 배설 - 오줌의 생성(재흡수) 생명과학 ① 5-3. 배설 - 오줌의 생성(재흡수) ◈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오줌의 생성 ② 재흡수원뇨가 세뇨관을 지나는 동안 여과된 물질 중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인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물 등은 세뇨관을 둘러싼 모세 혈관으로 다시 흡수되는데, 이를 ‘재흡수’라고 한다. ⓐ 재흡수율재흡수 시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100%, 물은 99% 정도, 무기 염류는 거의 대부분이 재흡수되며, 요소는 50% 정도가 재흡수된다. ⓑ 재흡수 방법보통 포도당과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은 능동 수송에 의해, 물은 삼투 현상에 의해, 그리고 요소 등의 노폐물은 확산에 의해 재흡수된다. - 능동 수송 :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등- 삼투 현상 : 물- 확산 : 요소, 노폐물- ⓒ 재흡수의 조절부신 피질에서.. 2016.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