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②54 생명과학 ② 4-6. 광합성에 과정, 질소동화작용 ▎생명과학 ② 4-6. 광합성에 과정, 질소동화작용 6. 질소 동화 작용 식물은 탄소 동화로 만들어진 탄수화물과 뿌리에서 흡수한 질소 성분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이를 질소 동화라고 한다. 이러한 질소 동화는 식물과 일부 세균에서만 일어나므로, 다른 생물은 유기 질소 화합물을 흡수하여 생활한다. ① 대기 중에는 기체 상태의 질소가 약 나 들어 있지만, 식물은 이 질소를 질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일부 세균은 대기 중의 질소를 로 환원시키는데, 이를 질소 고정이라고 한다. 콩과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에 포함된 질소를 고정한 다음, 그것 을 콩과식물로부터 얻은 탄수화물이나 유기산과 결합시켜 유기 질소 화합물을 합성한다. 그 밖에 토양 속에서 생활하며.. 2016. 9. 30. 생명과학 ② 4-5. 광합성에 과정, 암반응 ▎생명과학 ② 4-5. 광합성에 과정, 암반응 5. 광합성과정 암반응 ①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효소의 반응이다. ② 명반응에서 생성된 와 를 이용하여 를 고정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이다. ③ 칼빈회로의 발견 ⓐ 반응의 진행시간에 따라 식물에서 생성되는 물질을 조사하여 어떤 과정으로 포도당이 합성되는지 추적하였다. ⓑ 방사성 동위 원소가 들어 있는 를 클로렐라에 공급하고 광합성을 진행시키면서 끓인 알코올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회로를 완성하였다. ④ 칼빈회로의 과정 ⓐ 의 고정 가 리불로오스이인산과 결합하여 인글리세르산이 합성된다. - 의 최초 수용체는 이고, 최초 생성물은 이다. ⓑ 의 환원 : 가 에너지에 의해 이인글리세르산이 되며 이어서 로.. 2016. 9. 30. 생명과학 ② 4-4. 광합성에 과정, 명반응, 힐의 실험 ▎생명과학 ② 4-4. 광합성에 과정, 명반응, 힐의 실험 [ 힐의 실험 ] 다음 그림과 같이 엽록체 추출액을 옥살산철(Ⅲ)-(산화제)와 함께 시험관에 넣어 빛을 비추었다. ① 흡수가 없는 상태에서 가 발생했다. ② 옥살산철(Ⅲ)는 옥살산철(Ⅱ)로 환원되었다. 이것은 가 발생하면서 환원력이 있는 물질 이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③ 이것은 물이 광분해 됨으로써 일어나는 작용이다. ④ 빛에너지에 의해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을 물의 광분해 또는 힐 반응이라고 한다. ☞ 결론 엽록체에서 옥살산철(Ⅲ)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생체 내 물질은이다. 실제 광합성 과정에서는 가 로 환원되고, 는 후에 암반응 과정에서 를 환원하는데 이용된다. [명반응 정리] 1. 식물에 파장이 인 빛을 비추어 주고, 동시에 이보.. 2016. 9. 30. 생명과학 ② 4-3. 광합성에 과정, 명반응 ▎생명과학 ② 4-3. 광합성에 , 명반응 3. 광합성의 과정 1) 광합성 과정의 특징 ① 명반응과 암반응의 확인 (벤슨의 실험) 녹색식물에게 빛과조건을 달리해 주면서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였다. ⓐ 빛의 없으면가 있어도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 (가),(라) ⓑ 빛을 먼저 비춰 준 후를 공급하면 빛의 없어도 잠시 동안 광합성이 일어난다. ⇨ (다) ⓒ 빛과를 함께 공급하면 계속해서 광합성이 일어난다. ⇨ (바) ⓓ 광합성에는 빛이 필요한 명반응과 빛이 필요 없는 암반응 과정이 있다. ⓔ 명반응에서 빛에 의해 생긴 어떤 물질이 공급되어야 암반응이 일어난다. ② 광합성의 과정 와 물을 원료로 포도당과 산소를 합성하는 동화작용이다.엽록소의 그라나에서 명반응이 일어나고, 스트로마에서 암반응이 일어난다. 2.. 2016. 9. 30. 생명과학 ② 4-2.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명과학 ② 4-2.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빛의 세기 빛은 광합성(명반응)의 원료이므로, 온도와 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빛의 세기를 점점 강하게 하면 어느 한계까지는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① 광포화점 : 빛이 어느 세기에 도달하면 광합성량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며, 이때의 빛의 세기를 광포화점이라고 한다. ② 보상점 ⓐ 식물을 어두운 곳에 두면 광합성은 일어나지 않고 호흡만 하지만 빛을 비추면 광합성과 호흡이 동시에 일어나의 방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점점 줄어들던 의 방출량은 어느 세기의 빛에서는 흡수량과 같게 외면상 의 출입이 없어 보이는데, 이때의 빛의 세기를 보상점이라고 한다. ⓑ 맑은 날의 경우 보상점은 해가 뜰 때와 질 때 두 번 나타난다. ③.. 2016. 9. 30.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