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입시 전문 포털265 생명과학 ① 9-7. 생식과 발생, 연관 생명과학 ① 9-7. 생식과 발생, 연관 ◈ 염색체와 유전자 3. 연관 ① 염색체 수와 유전자 수 사람의 유전자는 대략 3만~4만 개 정도로 추산되므로 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염색체 위에 존재한다면 사람의 핵에는 염색체가 3만~4만 쌍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핵에 존재하는 사람의 염색체 수는 23쌍뿐이므로 한 개의 염색체에 여러 개의 유전자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② 연관과 연관군 하나의 염색체에 함께 있는 유전자들을 ‘연관(linkage)되어 있다’고 하며, 연관된 유전자들은 감수 분열을 하여 생식 세포를 형성할 때 그 염색체와 함께 행동한다. 하나의 염색체에 연관된 유전자들은 ‘연관군’이라고 한다. 염색체는 연관된 유전의 한 묶음인 셈인데, 연관군의 수는 상동 염색체의 쌍과 같으므로 체세포(2n)의 .. 2016. 3. 12. 생명과학 ① 9-6.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종류 & 핵상과 핵형 생명과학 ① 9-6.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종류 & 핵상과 핵형 ◈ 염색체와 유전자 ③ 염색체의 종류 ⓐ 상염색체 성에 관계없이 암수 공통으로 가지는 염색체로, 성 결정과는 관련이 없다. ⓑ 성 염색체 암수에 다르게 들어 있는 염색체로, 성을 결정한다. 예) X, Y ④ 핵상과 핵형 ⓐ 핵상(염색체의 세트) 핵 속에 들어 있는 염색체의 한 조(한 세트)를 n으로 표기한 것으로, 염색체의 상태를 말한다. 체세포의 핵상은 2n(2 세트), 생식 세포의 핵상은 n(1세트)이다. ⓑ 핵형(염색체의 수와 모양) 세포의 핵분열 중의 중기 또는 후기에 나타나는 염색체의 형태, 크기, 수의 특징을 말한다. 같은 종의 생물과 한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체세포에는 같은 수의 염색체가 존재하며 핵형도 같다. 핵형을 .. 2016. 3. 12. 생명과학 ① 9-5. 생식과 발생, 상동 염색체 생명과학 ① 9-5. 생식과 발생, 상동 염색체 ◈ 염색체와 유전자 ② 상동 염색체 체세포 속에 있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한 쌍의 염색체이다. 상동 염색체의 동일한 위치에는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가 존재한다. 상동 염색체는 각각 부계와 모계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므로 대립 유전자는 다를 수 있다. ? 상동 염색체 상동 염색체는 고등한 진핵 생물은 같은 모양의 염색체를 2개씩 가지고 있다. 2개의 염색체에는 같은 형질에 관계하는 유전자(대립 유전자)가 같은 순서로 늘어서 있다. 이처럼 꼭 닮은 2개의 염색체를 ‘상동 염색체’라고 한다. 상동 염색체는 감수 분열 때 서로 달라붙는데 이것을 ‘대합’이라고 한다. 사람은 1세트가 23종류로 된 상동 염색체를 2세트, 그러니까 합계 46개의 염색체를 가지.. 2016. 3. 12. 생명과학 ① 9-4.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구조 생명과학 ① 9-4.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구조 ◈ 염색체와 유전자 2. 염색체 ① 염색체의 구조 염색체는 세포가 분열을 할 때 관찰된다. ⓐ 염색체의 성분 염색체는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전 물질의 본체가 DNA이다. * 히스톤 : 보통의 단백질에서 볼 수 있는 아미노산을 대부분 함유하고 있는데, 아르기닌 및 리신이 풍부하므로 염기성을 나타낸다. 분자량은 1만 이상으로 비교적 적지만 조금 복잡한 구조를 가졌고 상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송아지의 흉선이나 새의 적혈구 등에서 얻는 히스톤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 염색체에서는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고 생각되며, 히스톤과로 된 뉴클레오히스톤은 대표적 핵단백질의 하나이다. ⓑ 염색체의 구조 전자 현미경으로 핵 속을 관찰하면 실 모양.. 2016. 3. 12. 생명과학 ① 9-3.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C 생명과학 ① 9-3.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C ◈ 염색체와 유전자 ③ 염색체설 서턴은 현미경으로 메뚜기의 생식 세포 분열을 관찰하던 중 감수 분열시 세포 속에 있는 염색체의 행동이 멘델이 가정한 유전 인자의 행동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03년 ‘유전 인자는 염색체 위에 있으며, 이는 염색체를 통해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염색체설을 발표하였다. 또한, 서턴은 염색체의 수보다 유전 인자의 수가 더 많으므로 하나의 염색체에 여러 가지 유전 인자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④ 유전자설 ⓐ 유전자(gene) ‘유전자’라는 용어는 1909년 요한센에 의해 만들어졌다. 유전자란 멘델이 발견한 유전 인자이며, 특정 형질을 결정짓는 유전 정보의 조각이다. ⓑ 유전자설 모건은 .. 2016. 3. 12.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