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6-5. 자극과 반응 - 귀, 청각기, 평형 감각기 생명과학 ① 6-5. 자극과 반응 - 귀, 청각기, 평형 감각기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4. 귀 - 청각기, 평형 감각기 ① 귀의 구조와 기능ⓐ 외이귓바퀴는 소리를 모으고, 외이도는 음파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중이> 고막외이와 중이의 경계에 있는 얇은 막으로, 음파에 의해 진동한다.> 청소골망치뼈, 모루뼈, 등자뼈라고 부르는 세 개의 작은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난원창에 전달한다.* 난원창(卵圓窓) : 가운데귀(중이)와 속귀(내이) 사이에 있는 달걀 모양의 구멍. 이 구멍에 등자뼈의 바닥 부분이 꽂혀 있어, 고막에서 받아들인 소리의 진동을 속귀에 전달하는 구실을 한다. > 유스타키오관중이와 목구멍을 연결하는 관으로, 중이의 압력을 외부와 같게 조절한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2016. 2. 15.
생명과학 ① 6-4. 자극과 반응 - 눈의 조절작용과 시력교정 생명과학 ① 6-4. 자극과 반응 - 눈의 조절작용과 시력교정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③ 눈의 조절 작용ⓐ 원근 조절 눈의 원근 조절은 모양체를 구성하는 모양근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구 분모양근진대수정체빛 굴절률가까운 곳을 볼 때수축느슨해짐두꺼워짐커짐먼 곳을 볼 때이완팽팽해짐얇아짐작아짐모양체는 맥락막의 일부가 변한 것이다.가까운 물체의 상은 망막의 뒤에 맺히는데 상이 망막에 맺히게 하려면 수정체가 더 두꺼워 져야한다. 모양체를 이루는 모양근이 수축하여 맥락막을 수정체 방향으로 당기면 진대가 느슨해져 수정체는 자체 탄력성에 의해 공처럼 둥글게 되면서 더 두꺼워진다. 그에 따라 빛 굴절률이 커져 상이 망막의 앞에 맺히게 된다. 반면에 먼 곳의 물체의 상은 망막의 .. 2016. 2. 15.
생명과학 ① 6-3. 자극과 반응 - 시세포 생명과학 ① 6-3. 자극과 반응 - 시세포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② 시세포에 시각의 성립ⓐ 시세포의 구조 시세포는 *감광 물질이 있어서 빛에 의한 자극을 받아들이는 세포로, 간상 세포와 원추 세포가 있다. ‘간상 세포’는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돌기를 가지며, ‘원추 세포’는 짧고 무딘 원추 모양의 돌기를 가진다.* 감광 물질 : 빛을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간상 세포에는 로돕신이 있다.> 간상 세포 :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돌기> 원추 세포 : 짧고 무딘 원추 모양의 돌기 ⓑ 간상 세포와 원추 세포의 기능 ‘간상 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약한 빛에 반응하여 물체의 ‘형태와 명암’은 구별하지만, 색깔은 구별하지 못한다. 반면 ‘원추 세포’는 밝은 곳에서 강한 빛에 반응하여 물.. 2016. 2. 15.
생명과학 ① 6-2. 자극과 반응 - 눈의 구조 생명과학 ① 6-2. 자극과 반응 - 눈의 구조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3. 눈 - 시각기 ① 눈의 구조 ⓐ 공막 안구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막으로, 눈의 흰자위 부분이다. 눈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를 보호한다 . ⓑ 각막 안구의 앞쪽에 있는 투명한 막으로, 공막의 일부가 변한 것이다. ⓒ 맥락막 공막 안쪽의 막으로,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빛의 산란을 막는 암실 역할을 한다. ⓓ 망막 안구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막으로, 시세포가 있어 빛 자극을 수용한다. 망막에서 시세포가 밀집되어 있어 가장 선명한 상이 맺히는 부위를 ‘황반’이라 하고, 시신경이 모여 지나가는 곳으로서 시세포가 없어 상이 맺혀도 볼 수 없는 부위를 ‘맹점’이라고 한다. > 안구의 가장 안쪽에 위치 > 시세포 : 빛 자극 수용 .. 2016. 2. 15.
생명과학 ① 6-1. 자극과 반응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생명과학 ① 6-1. 자극과 반응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1. 수용기와 적합 자극 ① 자극 생물에 작용하여 특정 반응을 일으키는 외부 환경의 변화를 자극이라고 한다. 자극에는 물리적 자극과 화학적 자극이 있다. ② 감각 기관과 적합 자극 ⓐ 감각 기관 자극을 받아들일 수 있는 부위를 ‘수용기’라 하며, 외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수용기가 분화되어 있는 기관을 ‘감각 기관’이라고 한다. 사람의 감각 기관으로는 눈, 귀, 코, 혀, 피부가 있다. ⓑ 적합 자극 각각의 감각 기관이 받아들일 수 있는 특정 자극을 ‘적합 자극’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눈은 빛(가시광선)을 자극으로 받아들이지만 소리는 감각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각 감각 기관마다 특정한 자극만을 받.. 2016.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