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7-5. 호르몬과 항상성 유지 B 생명과학 ① 7-5. 호르몬과 항상성 유지 B ④ 체온 조절 ⓐ 추울 때 * 발열량 증가 시상 하부의 조절을 받아 에피네프린, 당질 코르티코이드의 분비가 촉진되어 혈당량을 증가시키며, 티록신에 의해 간과 근육의 물질 대사가 촉진 되어 체내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또,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골격근을 수축시켜 몸이 떨리게 함으로써 열 생성량을 증가시켜 체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 열 발산량 감소 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피부의 모세 혈관과 입모근이 수축하고 땀 분비가 억제되어 몸 밖으로 방출되는 열을 감소시킨다. ⓑ 더울 때 * 발열량 감소 시상 하부의 조절을 받아 티록신 분비량이 감소하여 물질 대사가 억제됨으로써 간과 근육에서 열이 적게 발생한다. * 열 발산량 증가 부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피부의 모세 혈관과 .. 2016. 3. 12.
생명과학 ① 7-4. 호르몬과 항상성 유지 A 생명과학 ① 7-4. 호르몬과 항상성 유지 A 3. 항상성 유지 ① 항상성 생물체는 외부나 체내 환경이 변하더라도 몸속의 혈당량, 체온, 삼투압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것을 ‘항상성’이라고 한다. 신경계와 내분비계(호르몬)의 협조와 조절 작용에 의해 항상성이 유지되며, 최고 조절 중추는 간뇌의 시상 하부이다. ② 호르몬 분비량이 조절 원리(피드백) 어떤 변화가 일어날 때 어떤 원인에 의해 결과가 나타나고, 그 결과가 원인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피드백’이라고 한다. 항상성이 유지되려면 호르몬의 양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호르몬이 필요량보다 많으면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조절 방식을 음성 피드백이라고 한다. 호르몬의 분비량은 주.. 2016. 3. 12.
생명과학 ① 7-3.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B 생명과학 ① 7-3.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B 2.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③ 부신 양쪽 신장의 윗부분을 덮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피질과 수질로 구분된다. ⓐ 부신 피질 부신 피질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을 통틀어 코르티코이드라고 한다. * 당질 코르티코이드(코티솔) 간세포에 작용하여 지방이나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촉진함으로써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신장의 세뇨관에서 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혈액 내의 무기 염류 농도를 조절한다. ⓑ 부신 수질 교감 신경의 조절을 받아 단시간 내에 반응하여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과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간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2016. 3. 12.
생명과학 ① 7-2.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A 생명과학 ① 7-2.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A 2.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을 통틀어 내분비계라고 한다. 사람의 내분비계는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뇌하수체 간뇌의 시상 하부 밑에 있으며, 전엽, 중엽, 후엽으로 나뉜다. 사람의 경우 성인이 되면 중엽은 흔적만 남는다. ⓐ 뇌하수체 전엽 시상 하부에 의해 조절되며, 주로 다른 내분비선의 기능을 조절하는 자극 호르몬이 분비된다. * 생장 호르몬(GH, Growth Hormone) 근육과 뼈의 발달을 촉진하여 몸이 생장하도록 한다. 어린이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며, 분비량이 적으면 소인증이 되고 많으면 거인증이 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호르몬 중 내분비선이 아닌 일반 표적 기관에 .. 2016. 3. 12.
생명과학 ① 7-1.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 생명과학 ① 7-1. 호르몬과 항상성 - 호르몬 ◈ 호르몬과 항상성 유지 호르몬은 내분비선에서 분비되어 혈액에 의해 운반되며, 표적 기관에서만 작용하는데 분비량에 따라 결핍증과 과다증으로 나타나고 척추동물에서는 종 특이성이 없다. 1. 호르몬 ① 분비선(분비샘) ⓐ 내분비선 호르몬을 합성하여 분비하는 기관으로, 분비관이 따로 없어 혈관이나 림프관으로 직접 분비한다. 뇌하수체, 이자, 갑상선 등이 있다. ⓑ 외분비선 특정 물질을 상피 조직 밖의 다른 곳으로 분비하는 기관으로, 분비관이 따로 존재한다. 침샘, 눈물샘, 땀샘, 소화샘 등이 있다. ② 호르몬의 특성 ⓐ 체내의 내분비선에서 생성되며, 별도로 분비되는 관이 없이 혈액이나 조직액으로 직접 분비된다. ⓑ 혈액에 의해 온몸으로 운반되며 특정 기관이나 세..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