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6-11. 자극과 반응 - 약물의 오·남용과 건강 생명과학 ① 6-11. 자극과 반응 - 약물의 오·남용과 건강 ◈ 약물의 오용과 남용 1. 약물의 오·남용과 건강 ① 약물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거나 신체 기능을 변화시키는 물질로서, 의학 약품 뿐 아니라 인간의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정신적 변화를 일으키는 마약류, 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등을 모두 포함하여 약물이라고 한다. ⓐ 약물의 오용 의사의 처방에 따르지 않고 약물을 임의로 사용하거나 처방된 약을 지시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 약물의 남용 의학적인 목적이 아닌 개인의 쾌락을 추구하는 등 다른 용도로 약물을 사용하거나 함부로 많은 양의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② 약물의 분류 약물은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방법에 따라 분류한다. ⓐ 중추 신경 흥분제 중추 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물로, 심장 박동수.. 2016. 2. 15.
생명과학 ① 6-11. 자극과 반응 - 말초 신경계 생명과학 ① 6-11. 자극과 반응 - 말초 신경계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신경계 B ② 말초 신경계 중추 신경계와 온몸의 조직이나 기관을 연결하는 신경으로, 기능에 따라 체성 신경계와 자율 신경계로 구분한다. ⓐ 체성 신경계 체성 신경계는 감각기의 자극을 중추 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의 명령을 반응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로,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으로 구성된다. 체성 신경계는 척수 반사와 같은 무조건 반사를 제외하고는 대뇌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인간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반응에 관계한다. 체성 신경계에는 뇌에서 나와 얼굴에 분포하는 12쌍의 뇌신경과 척수에서 나와 신체에 분포하는 31쌍의 척수 신경이 있다. ⓑ 자율 신경계 대뇌의 직접적인 조절을 받지 않고 우리 몸의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2016. 2. 15.
생명과학 ① 6-10. 자극과 반응 - 중추 신경계 생명과학 ① 6-10. 자극과 반응 - 중추 신경계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신경계 A ① 중추 신경계 자극 전달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감각기로부터 수용된 여러 자극을 받아 종합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뇌 두개골로 싸여 있으며, 크게 대뇌, 소뇌, 간뇌, 중뇌, 연수의 5부분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행동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 대뇌 대뇌는 감각과 수의 운동의 중추일 뿐 아니라 기억이나 판단 등 정신 활동의 중추이다. 대뇌는 좌우 두 개의 반구로 나뉘어져 있고, 표면에는 주름이 많아 표면적이 넓다. 피질은 뉴런의 신경 세포체가 모여 회색을 띠고 있어 회백질이라 하고, 수질은 신경 섬유가 모여 백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한다. 대뇌의 대부분의 기능을 .. 2016. 2. 15.
생명과학 ① 6-10. 자극과 반응 - 흥분의 전달 생명과학 ① 6-10. 자극과 반응 - 흥분의 전달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흥분의 전도와 전달 B ② 흥분의 전달 뉴런과 누런 사이의 시냅스에서 신경 전달 물질에 의해 흥분이 다음 뉴런으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 흥분의 전달 과정 시냅스를 이루는 축색 돌기 말단은 약간 부풀어 있는데, 이 부위를 축색 말단 또는 신경 말단이라고 한다. 신경 말단에는 시냅스 소포라는 작은 주머니가 많이 있는데, 이 속에서는 아세틸콜린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이 들어 있다. 흥분이 축색 돌기를 따라 신경 말단까지 전도되면 아세틸콜린이 시냅스 틈으로 방출된다. 아세틸콜린은 시냅스 틈으로 확산되어 다음 뉴런의 수상 돌기나 신경 세포체의 막에 작용하여 탈분극을 일으킨다. 이렇게 해서 다음 뉴런에서 새로운 흥분이 발생한다. ⓑ.. 2016. 2. 15.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분극과 휴지 전위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분극과 휴지 전위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흥분의 전도와 전달 A ① 흥분의 전도 뉴런 내에서 흥분이 전해지는 현상이다. ⓐ 분극과 휴지 전위 > 분극 뉴런이 세포막을 경계로 안쪽은 음(-)전하, 바깥쪽은 양(+)전하를 띠고 있는 상태를 ‘분극’ 또는 ‘휴지 상태’라고 한다. 분극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음(-)전하를 띠는 단백질이 세포 안에만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세포막의 이온 투과성이 달라서 세포막 안팎의 이온이 불균등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분극 상태일 때 농도는 세포 밖보다 안이 높고, 농도는 세포 안보다 밖이 높다. 이온 뉴런 내부 뉴런 외부 15 mM 150 mM 150 mM 5 mM 10 mM 120 mM 100 mM - > -펌프(나트륨 펌프) 휴.. 2016.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