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뉴런의 종류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뉴런의 종류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뉴런의 종류 ① 수초의 유무에 따른 구분ⓐ 유수 신경뉴런의 축색 돌기가 수초와 슈반초에 의해 싸여 있는 신경이다. 유수 신경의 경우 도약 전도가 일어나므로 무수 신경에 비해 흥분의 전도 속도가 빠르며, 척추동물의 신경은 대부분 유수 신경이다.ⓑ 무수 신경뉴런의 축색 돌기에 수초가 없이 슈반초로만 싸여 있는 신경이다. 흥분의전도 속도가 느리며, 척추동물의 자율 신경 절후 섬유나 무척추동물의 신경은 무수 신경이다. ② 뉴런의 기능에 따른 구분ⓐ 감각 뉴런감각 신경을 이루는 뉴런으로, 감각 기관에서 수용한 자극을 중추 신경계로 전달한다. 감각 뉴런의 신경 세포체는 축색 돌기의 한쪽 옆에 있다.ⓑ 운동 뉴런운동 신경을 이루는 뉴런으.. 2016. 2. 15.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뉴런의 구조 생명과학 ① 6-9. 자극과 반응 - 뉴런의 구조 ◈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1. 뉴런의 구조와 종류 ① 뉴런의 구조신경계를 구성하는 단위 신경 세포를 ‘뉴런(neuron)’이라고 한다. 뉴런은 일반 세포와는 달리 그 모양이 정보의 전달에 알맞게 분화되어 있다. 뉴런은 신경 세포체, 수상 돌기, 축색 돌기, 축색 말단으로 구성된다.ⓐ 신경 세포체핵과 세포질이 있어 뉴런의 생장과 물질 대사에 관여한다. ⓑ 수상 돌기신경 세포체에 돋아 있는 여러 개의 짧은 돌기로, 자극 수용기나 다른 뉴런에서 오는 자극을 받아들인다. ⓒ 축색 돌기신경 세포체에서 길게 뻗어 나와 있는 한 개의 돌기로, 다른 뉴런이나 근육에 흥분을 전달해 주는 통로 역할을 한다. 축색 돌기의 가장 바깥쪽은 *슈반초라고 하는 얇은 막으로 싸여 있.. 2016. 2. 15.
생명과학 ① 6-8. 자극과 반응 - 후각, 미각, 피부감각 생명과학 ① 6-8. 자극과 반응 - 후각, 미각, 피부감각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1. 코 - 후각기 ① 코의 구조와 기능콧속(비강)의 윗부분에는 후세포로 이루어진 후각 상피가 있어 기체 상태의 화학 물질을 냄새로 수용한다. 후각은 여러 감각기 중에서 가장 예민하지만 같은 자극에 대해서는 쉽게 피로해진다. ② 후각의 성립기체 상태의 화학 물질이 코 천장의 점막에 녹아 후각 상피의 후세포를 자극하면, 이 흥분이 대뇌의 후각 중추에 전달되어 후각이 성립한다. 2. 혀 - 미각기① 혀의 구조와 기능혀의 표면에는 유두라는 작은 돌기가 있고, 유두의 옆 부분에는 미뢰가 있다. 미뢰 속에는 미세포가 있어 액체 상태의 화학 물질을 맛으로 수용한다. 사람이 기본적으로 느낄 수 있는 맛은 단맛, 신맛, 짠맛, 쓴.. 2016. 2. 15.
생명과학 ① 6-7. 자극과 반응 - 평형감각 생명과학 ① 6-7. 자극과 반응 - 평형감각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③ 평형감각ⓐ 전정 기관*통낭과 *소낭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그 속에 감각모를 간진 감각 세포층이 있다. 감각 세포층 위에 이석(청사)이라는 석회질의 작은 알갱이가 있는데, 몸이 기울어지면 이석이 움직여 감각모를 누르게 된다. 이 자극에 의해 감각 세포가 흥분하고, 흥분이 소뇌로 전달되어 몸의 기울기를 감각하여 자세를 바르게 한다. * 통낭(通囊) : 속귀에 있는 낭상(囊狀:주머니처럼 생긴 모양) 기관의 하나. 반고리관이 딸려 있으며, 몸의 위치와 운동 감각을 관장한다. * 소낭(小囊, sacculus) : 척추동물의 내이(內耳)의 일부분으로 구형낭(球形囊)이라고도 한다. 통낭과 병행하여 있고 그 구조가 매우 비슷하며 모두 .. 2016. 2. 15.
생명과학 ① 6-6. 자극과 반응 - 청각의 성립 생명과학 ① 6-6. 자극과 반응 - 청각의 성립 ◈ 자극의 수용과 감각 기관 ② 청각의 성립 음파가 고막을 진동시키면 이 진동이 청소골에서 증폭된 후 난원창을 통해 달팽이관으로 들어간다. 음파 에너지에 의해 달팽이관의 전정계와 고실계의 림프가 진동함으로써 달팽이세관의 기저막이 상하로 진동한다. 이 진동으로 기저막 위에 있는 청세포의 감각모가 덮개막과 접촉하면서 휘어져 청세포가 흥분하고, 이 흥분은 청신경을 통해 대뇌로 전달되어 소리를 듣게 된다. 음파 ⇨ 고막 진동 ⇨ 청소골에서 음파 증폭 ⇨ 난원창으로 통해 달팽이관으로 이동 ⇨ 전정계와 고실계의 림프 진동(달팽이관) ⇨ 기저막 상하 진동(달팽이세관) ⇨ 청세포의 감각모가 덮개막과 접촉(기저막 위 코르티 기관) ⇨ 청세포 흥분 ⇨ 청신경을 통해 대뇌 전달 2016.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