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8-15.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5.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E 4. 불임과 인공 수정 ① 불임 정상적으로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불임이라고 한다. 불임의 원인은 남성과 여성에게 모두 있을 수 있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비슷한 빈도로 불임의 원인이 생길 수 있다. ⓐ 남성 불임의 원인 남성 불임의 원인은 정소나 정관(수정관)에 이상이 생기거나 정자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정관이 폐쇄되면 정자가 나올 수 없게 된다. 정소가 장기간 고온이나 방사선에 노출되면 정자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정자가 생성된다고 하더라도 정자의 운동성이 부족하거나 기형 정자가 많을 경우에도 불임이 된다. ⓑ 여성 불임의 원인 여성 불임은 배란 이상, 수란관이나 나팔관 폐쇄, 자궁 이상, 정자에 대한 항체 생성 ..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4.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4.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D 3. 모체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① 흡연 담배의 주요 성분인 니코틴은 태아의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한다. 또, 담배 연기의 일산화탄소는 모체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태아에게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저체중이나 심장 질환이 있는 아기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임신 초기의 유산 확률도 높아진다. ② 음주 임산부가 마신 술 속의 알코올은 태반을 통해 태아의 혈액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그런데 태아는 알코올 분해 효소가 없으므로 알코올이 태아의 체내에 축적되어 뇌 발달과 신체 발육에 큰 피해를 입힌다. ③ 약물 복용 약물의 성분에는 모체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3.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3.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C 2. 분만 ① 분만 수정일로부터 266일 동안 모체에서 자란 태아는 자궁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를 분만이라고 한다. 분만일은 수정일로부터 266일 째 또는 임신 전 마지막 월경 첫날로부터 280일째가 된다. ② 호르몬 분비 ⓐ 옥시토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어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여 분만이 일어나게 한다. 옥시토신에 의해 자궁이 수축되면서 진통이 오고 태아의 머리가 자궁 경부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옥시토신의 분비량은 더욱 증가하여(양성 피드백) 분만이 일어난다. ⓑ 젖 분비 자극 호르몬(프로락틴)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젖샘의 발달과 출산 후 젖 분비를 촉진하다. 젖 분비 자극 호르몬에 의해 출산 후 수..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2.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2.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B 1. 태아의 발생 ⑤ 임신 기간 사람의 임신 기간은 수정일 부터 266일, 약 9개월이다. 임신 기간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수정~임신 3개월(8주) 수정과 착상 및 태반의 형성이 일어나고 태아의 주요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급속한 세포 분열과 분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 동안 배는 방사선과 약물 및 모체에 감염된 바이러스 등에 의해 기형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 착상 직후부터 형성된 태반에서 HCG(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가 분비되어 황체가 퇴화하지 않고 계속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 상태가 유지된다. 임신 8주의 배는 3cm 정도이고 몸무게는 10g이 채 되지..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1.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1.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A 1. 태아의 발생 ① 태반의 형성과 기능 ⓐ 태반의 형성 배가 자궁 내벽에 착상한 후 배와 모체 사이에 혈관이 발달하여 배 조직 일부와 모체의 자궁 내벽이 결합하여 태반을 형성한다. 배가 자궁 내막에 부착하면 자궁 내벽에 구멍을 파고 들어가 착상이 일어나고, 배의 바깥쪽을 구성하는 세포층이 혈관이 풍부한 모체의 조직으로 수많은 돌기를 내면서 파고든다. 그에 따라 자궁 내막의 모세 혈관이 터져 태아의 모세 혈관은 모체의 혈액에 잠기게 된다. ⓑ 태반의 기능 태반은 태아와 모체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 물질 교환의 원리 태반에는 모체의 혈액이 가득 차 있어 확산 현상에 의해 태아의 모세 혈관과 모체의 혈액 사이에 ..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