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9-4.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구조 생명과학 ① 9-4. 생식과 발생, 염색체의 구조 ◈ 염색체와 유전자 2. 염색체 ① 염색체의 구조 염색체는 세포가 분열을 할 때 관찰된다. ⓐ 염색체의 성분 염색체는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전 물질의 본체가 DNA이다. * 히스톤 : 보통의 단백질에서 볼 수 있는 아미노산을 대부분 함유하고 있는데, 아르기닌 및 리신이 풍부하므로 염기성을 나타낸다. 분자량은 1만 이상으로 비교적 적지만 조금 복잡한 구조를 가졌고 상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송아지의 흉선이나 새의 적혈구 등에서 얻는 히스톤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 염색체에서는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고 생각되며, 히스톤과로 된 뉴클레오히스톤은 대표적 핵단백질의 하나이다. ⓑ 염색체의 구조 전자 현미경으로 핵 속을 관찰하면 실 모양.. 2016. 3. 12.
생명과학 ① 9-3.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C 생명과학 ① 9-3.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C ◈ 염색체와 유전자 ③ 염색체설 서턴은 현미경으로 메뚜기의 생식 세포 분열을 관찰하던 중 감수 분열시 세포 속에 있는 염색체의 행동이 멘델이 가정한 유전 인자의 행동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03년 ‘유전 인자는 염색체 위에 있으며, 이는 염색체를 통해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염색체설을 발표하였다. 또한, 서턴은 염색체의 수보다 유전 인자의 수가 더 많으므로 하나의 염색체에 여러 가지 유전 인자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④ 유전자설 ⓐ 유전자(gene) ‘유전자’라는 용어는 1909년 요한센에 의해 만들어졌다. 유전자란 멘델이 발견한 유전 인자이며, 특정 형질을 결정짓는 유전 정보의 조각이다. ⓑ 유전자설 모건은 .. 2016. 3. 12.
생명과학 ① 9-2.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B 생명과학 ① 9-2.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B ◈ 염색체와 유전자 ② 멘델의 유전 법칙 오스트리아의 수도사였던 멘델은 완두의 교배 실험을 통해 일정한 규칙성을 갖는 유전 현상을 발견하고 1865년에 발표하였다. ⓐ 멘델의 실험 * 실험 1 순종인 둥근 완두와 주름진 완두를 교배하였더니 잡종 제 1대에서는 둥근 완두만 생겼고, 잡종 제 1대의 둥근 완두를 *자가수분시켰더니 잡종 제 2대에서는 둥근 것 : 주름진 것 = 3 : 1의 비율로 생겼다. * 둥근 완두(RR) + 주름진 완두(rr) ⇨ 둥근 완두(Rr) : 잡종 제 1세대 잡종 제 1세대(Rr) + 잡종 제 1세대(Rr) ⇨ 둥근 완두(RR-Rr) : 주름진 완두(rr) = 3 : 1 * 자가수분(自家受粉, self-pollination).. 2016. 3. 12.
생명과학 ① 9-1.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A 생명과학 ① 9-1. 생식과 발생, 염색체와 유전자 A ◈ 염색체와 유전자 1. 염색체와 유전자의 관계 ① 유전 용어 ⓐ 형질과 대립 형질 생물이 가지고 있는 모양이나 성질을 ‘형질’, 서로 대립 관계에 있는 형질을 ‘대립 형질’이라고 한다. * 형질 : 완두의 모양 * 대립 형질 : 둥글다 ↔ 주름지다 ⓑ 표현형과 유전자형(인자형) 외관상 드러나는 형질을 ‘표현형’,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조합을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을 ‘유전자형’이라고 한다. * 표현형 : 씨의 모양이 둥글다, 주름지다 * 유전자형 : RR, Rr, rr ⓒ 유전자와 대립 유전자 유전 형질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위를 ‘유전자’,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데 관여한 쌍을 이루고 있는 유전자를 ‘대립 유전자’라고 한다. ⓓ ..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6.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6. 생식과 발생 ◈ 태아의 발생과 분만 및 인공 수정 F 5. 건전한 성 윤리 ① 건전한 성 의식 남녀는 사춘기에 이르러 성적으로 성숙하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성에 대해 올바른 지식과 의식을 가져야 한다. ② 성병의 종류와 증상 ⓐ 임질 임질균에 의해 생기는 가장 흔한 성병이다. 남성의 경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면서 녹색을 띤 황색 고름 같은 분비물이 요도 끝에서 나온다. 여성의 경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기도 하고 고름 같은 냉이 흐르기도 하지만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감염된 사실을 모르고 치료를 하지 않아 골반염 등을 앓거나 계속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다. 임산부가 임질에 걸리면 사산하거나.. 2016.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