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 정보/ 생명과학①91 생명과학 ① 8-5.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5. 생식과 발생 2. 생식 세포의 형성 ① 정자의 형성 ⓐ 증식 태아시기에 생식원 세포(2n)는 체세포 분열로 그 수를 늘려가며 수많은 정원세포(2n)를 만든다. 이때는 염색체 수와 DNA량이 변하지 않는 체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 성숙 사춘기가 되면 정원세포(2n)는 분열과 생장을 거듭하여 체세포 분열을 통해 계속 그 수를 늘려가는 한편, 일부는 DNA를 복제하고 감수 분열 과정에 들어가 제 1정모세포(2n)가 된다. ? 상동염색체와 염색분체 염색분체는 세포분열을 하기 위해 하나의 염색체가 DNA를 복제하여 두 줄이 되었을 때 각각의 줄을 염색분체라고 한다. 염색분체 각각은 서로 부착되어 있고 한 개의 염색체이다. 그리고 염색분체 사이에는 유전자의 정보가 일치한다. 반면 상동염색체는.. 2016. 3. 12. 생명과학 ① 8-4.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4. 생식과 발생 ◈ 체세포분열 과정 체세포분열의 시기는 크게 간기와 핵 분열시기로 나뉜다. ㉠ 간기 (그림의 1번~2번)) 간기는 세포분열이 끝난 후 *딸세포가 자라 다음 세포분열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기로 쉽게 말하면 다음 세포분열을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다. 즉, 세포 분열을 위한 준비 기간이므로 분열시기가 아니다. * 딸세포(―細胞) : 세포 분열에 의하여 생긴 두 개의 세포. 낭(娘)세포. 세포분열을 준비하는 시기로 세포분열기보다 훨씬 길고, 이 시기에 염색체가 복제되어 2배로 증가한다. 그리고 간기에는 염색체가 염색사 상태로 풀어져 있어서 염색체가 관찰되지 않는다. (그림은 모식도이므로 염색분체로 표현하였다.) ㉡ 분열기 1. 전기 (그림의 2번과 3번 사이) 전기 때는 간기에서는.. 2016. 3. 12. 생명과학 ① 8-3.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3. 생식과 발생 ◈ 감수분열 과정 ① 정원세포 (그림 1번) 정원세포는 정자가 될 세포의 근원세포이다. 정원세포는 계속 체세포 분열을 해서 그 수를 늘린다. ② 제 1정모세포 (그림 2번) 정원세포는 DNA 복제를 통해 염색분체를 만든다.이때 염색체 하나가 갖게 되는 DNA의 총량은 정원세포의 2배이다. 제 1분열 (이형 분열 : 서로 다른 염색체 끼리 분열한다)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2n→n) ③ 상동 염색체의 접합 (그림 3번) 상동 염색체는 서로 접합하여 2가 염색체(4분 염색체)를 형성하고 2가 염색체가 적도면에 배열하면 양극에서 방추사가 나와 각 염색체의 동원체에 연결된다. ④ 2가 염색체의 분리 (그림 4번) 방추사에 의해 2가 염색체가 접합면에서 분리되어 양극으로.. 2016. 3. 12. 생명과학 ① 8-2.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2. 생식과 발생 ◈ 생식 기관과 생식 세포의 형성 ● 염색체와 염색분체의 개념 염색체는 세포분열 시에 DNA와 단백질이 응축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보통 이때의 염색체는, 염색분체 두 개가 붙어있는 모양이 아닌 가운데가 잘록한 봉과 같은 모양으로 *동원체에 염색분체 한 개가 붙어있다. * 동원체(動原體, centromere) : 세포핵이 유사 분열할 때 방추사가 붙는 염색체의 잘록한 부분이다. 그림으로 나타낼 때는 염색체 중앙에 있는 동그란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염색분체가 두개든 한 개든 동원체가 한 개면 하나의 염색체이다. 즉, 염색체의 숫자를 헤아릴 때에는 동원체의 숫자로 그 개수를 말하는 것이다. 옆의 두 그림에서 동원체는 각 2개이므로 총 염색체의 개수는 2개이다. 염색분체는 X.. 2016. 3. 12. 생명과학 ① 8-1. 생식과 발생 생명과학 ① 8-1. 생식과 발생 ◈ 생식 기관과 생식 세포의 형성 1. 사람의 생식 기관 ① 남성의 생식 기관 생식 세포인 정자를 생성하는 기관(정소), 정자를 여성의 체내에 전달해 주는 기관(음경), 그리고 정액 성분을 분비하는 부속선(정낭, 전립선, 쿠퍼선)들로 구성되어 있다. ⓐ 정소 음낭 안에 한 쌍(2개)이 있으며 길이는 약 4cm이고 달걀 모양이다. 정소 안에는 세정관이라고 하는 가느다란 관이 코일처럼 돌돌 감기고 꼬여 있는데, 세정관의 내벽에서 정자가 형성된다. 또한, 정소는 정자 형성 외에도 정자의 형성을 촉진하고 남성의 2차 성징을 나타내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한다. ⓑ 부정소 세정관에서 생성된 정자는 부정소로 이동하여 저장되며, 이곳에서 운동능력을 갖추고 성숙한다. ⓒ 수.. 2016. 3. 1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9 다음 반응형